top of page

사도 바울 (Apostle Paul)

신약성경의 많은 부분을 저술했으며, 세 차례에 걸친 전도 여행을 통해 로마 제국 전역에 교회를 세운 이방인의 사도입니다.

사도 베드로 (Apostle Peter)

예수님의 수제자로서 초대 예루살렘 교회의 중심 지도자였으며, 로마에서 순교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사도 토마스 (Apostle Thomas)

'의심 많은 도마'로 알려졌지만, 인도까지 가서 복음을 전파하고 교회를 세운 것으로 유명합니다.

파트리치오 (Patrick)

아일랜드의 수호성인으로, 켈트족에게 기독교를 전파하고 수많은 교회를 세웠습니다.

콜룸바 (Columba)

스코틀랜드에 복음을 전한 아일랜드 선교사로, 아이오나 수도원을 설립하여 유럽 선교의 중심지로 삼았습니다.

보니파시오 (Boniface)

'독일의 사도'라 불리며, 게르만족에게 기독교를 전파하고 독일 교회의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성 안스가리오 (Anskar)

스칸디나비아 지역에 처음으로 복음을 전한 '북유럽의 사도'입니다.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Cyril and Methodius)

슬라브족에게 기독교를 전파했으며, 슬라브어 예배를 위해 글라골 문자를 만들었습니다.

울필라스 (Ulfilas)

4세기 고트족에게 복음을 전하며 고트어 성경을 번역했습니다.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Francis Xavier)

예수회 소속으로 인도, 일본 등 아시아 지역에서 광범위한 선교 활동을 펼쳤습니다.

레몽 룰 (Ramon Llull)

이슬람권 선교의 선구자로, 아랍어와 이슬람 문화 연구를 통해 대화적 선교를 시도했습니다.

알로페니 (Alopen)

635년 중국 당나라에 도착하여 경교(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를 전파한 최초의 선교사입니다.

어거스틴 (Augustine of Canterbury)

교황 그레고리오 1세의 파송을 받아 앵글로색슨족을 개종시킨 캔터베리 초대 대주교입니다.

성 콜룸바누스 (Columbanus)

프랑스와 이탈리아 지역에 수도원을 세우며 켈트 기독교의 영성을 전파했습니다.

윌리엄 캐리 (William Carey)

'근대 선교의 아버지'로, 인도로 건너가 성경 번역, 교육, 사회 개혁에 헌신했습니다.

아도니람 저드슨 (Adoniram Judson)

미국 최초의 해외 선교사로, 미얀마(버마)에서 오랜 핍박 속에서도 성경을 번역하고 교회를 세웠습니다.

허드슨 테일러 (Hudson Taylor)

중국 내지 선교회(CIM)를 창설하고, 현지 문화에 동화되는 '성육신적 선교'를 통해 중국 복음화에 큰 족적을 남겼습니다.

데이비드 리빙스턴 (David Livingstone)

아프리카 탐험가이자 선교사로, 미지의 아프리카 대륙을 탐험하며 노예 무역의 실상을 알리고 복음을 전했습니다.

로버트 모리슨 (Robert Morrison)

최초의 개신교 중국 선교사로, 중국어 성경 번역과 중국어-영어 사전을 편찬하여 후대 선교사들의 길을 열었습니다.

헨리 마틴 (Henry Martyn)

인도와 페르시아에서 성경 번역 사역에 힘쓴 학자 선교사입니다.

사무엘 마즈웸버 (Samuel Zwemer)

'이슬람의 사도'라 불리며, 아라비아와 이집트 등 이슬람권 선교에 일생을 바쳤습니다.

조지 뮬러 (George Muller)

기도로 수만 명의 고아를 돌본 것으로 유명하며, 그의 삶 자체가 살아있는 믿음의 증거가 되었습니다.

C. T. 스터드 (C. T. Studd)

영국의 유명 크리켓 선수였으나, 모든 부와 명예를 버리고 중국, 인도, 아프리카에서 헌신한 '케임브리지 7인' 중 한 명입니다.

조나단 에드워즈 (Jonathan Edwards)

미국의 대각성 운동을 이끈 신학자이자, 말년에는 인디언 선교사로 사역했습니다.

데이비드 브레이너드 (David Brainerd)

북미 인디언들에게 복음을 전한 젊은 선교사로, 그의 경건한 삶과 일기는 후대 선교사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습니다.

존 엘리엇 (John Eliot)

'인디언의 사도'로, 북미 알공퀸 인디언 언어로 성경을 번역했습니다.

친타만 빈센트 (Chintaman Vinayak Van)

인도인으로서 기독교로 개종한 후, 인도 교회의 자립과 부흥을 위해 헌신했습니다.

바르톨로메오 지겐발크 (Bartholomäus Ziegenbalg)

인도에 파송된 최초의 독일 루터교 선교사로, 타밀어 성경 번역과 인쇄소를 설립했습니다.

크리스티안 프리드리히 슈바르츠 (Christian Friedrich Schwarz)

인도 남부에서 40년 이상 사역하며 현지인들의 깊은 존경을 받은 선교사입니다.

메리 슬레서 (Mary Slessor)

나이지리아 칼라바르 지역에서 쌍둥이 살해 풍습을 막고 여성과 어린이의 인권을 위해 싸운 '칼라바르의 여왕'입니다.

에이미 카마이클 (Amy Carmichael)

인도에서 성전 창녀로 팔려가는 소녀들을 구출하여 '도나부르 공동체'를 세우고 평생 그들을 돌보았습니다.

로버트 모펫 (Robert Moffat)

데이비드 리빙스턴의 장인으로, 남아프리카에서 츠와나어로 성경을 번역하고 복음을 전했습니다.

존 기입슨 패튼 (John Gibson Paton)

남태평양 뉴헤브리디스 제도의 식인종들에게 복음을 전하며 수많은 위험을 극복했습니다.

짐 엘리엇 (Jim Elliot)

에콰도르 아우카족에게 복음을 전하다 순교했으며 '영원한 것을 위해 영원하지 않은 것을 버리는 자는 바보가 아니다'라는 말을 남겼습니다.

네이트 세인트 (Nate Saint)

짐 엘리엇과 함께 순교한 선교 비행사로, 오지 선교에 비행기를 활용하는 데 선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이언 키스-팔코너 (Ion Keith-Falconer)

스코틀랜드의 귀족이자 학자였으나, 아라비아 예멘에서 선교하다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글래디스 에일워드 (Gladys Aylward)

중국 산시성에서 고아들을 돌보며 '고아들의 어머니'로 불린 영국인 가정부 출신 선교사입니다.

에릭 리델 (Eric Liddell)

영화 '불의 전차'의 주인공인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로, 이후 중국 선교사로 헌신하다 일본군 포로수용소에서 생을 마감했습니다.

C. S. 루이스 (C. S. Lewis)

그의 저술 활동은 전 세계 수많은 사람들을 기독교 신앙으로 이끄는 강력한 선교의 도구가 되었습니다.

빌리 그레이엄 (Billy Graham)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복음 전도자로, 전 세계를 누비며 대규모 전도 집회를 통해 수많은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했습니다.

마더 테레사 (Mother Teresa)

인도의 가난하고 병든 자들을 위해 '사랑의 선교회'를 설립하고, 가장 낮은 자들을 섬기며 그리스도의 사랑을 실천했습니다.

브라더 앤드루 (Brother Andrew)

'하나님의 밀수꾼'으로, 공산권 국가에 성경을 몰래 반입하며 철의 장막 뒤의 성도들을 위로하고 격려했습니다.

로렌 커닝햄 (Loren Cunningham)

국제 예수전도단(YWAM)의 설립자로, 단기 선교와 제자 훈련을 통해 전 세계 젊은이들을 선교에 동원했습니다.

조지 버워 (George Verwer)

국제 오엠선교회(OM)의 설립자로, 선교선을 통해 전 세계에 문서 선교와 구제 사역을 펼쳤습니다.

윌리엄 캐머런 타운센드 (William Cameron Townsend)

위클리프 성경번역선교회(WBT)를 창설하여, 아직 문자가 없는 소수 민족의 언어로 성경을 번역하는 사역에 일생을 바쳤습니다.

로티 문 (Lottie Moon)

중국에서 40년 가까이 여성과 어린이를 위한 교육과 복음 전도에 헌신했으며, 남침례교 해외 선교 헌금에 이름을 남겼습니다.

아이다 스커더 (Ida Scudder)

인도 여성들을 위한 의료 선교에 헌신하여 벨로르에 기독교 의과대학과 병원을 설립했습니다.

앨버트 슈바이처 (Albert Schweitzer)

의사이자 신학자로서 아프리카 가봉에 병원을 세우고 '생명에 대한 경외' 사상을 실천하며 평생을 아프리카인들을 위해 헌신했습니다.

헬렌 로즈비어 (Helen Roseveare)

콩고에서 의료 선교사로 사역하며 내전의 참혹한 상황 속에서도 믿음을 지키고 환자들을 돌봤습니다.

재키 풀링거 (Jackie Pullinger)

홍콩의 마약 중독자들이 모여 사는 구룡성채에 들어가 그들과 함께 살며 복음을 전하고 재활을 도왔습니다.

클라렌스 존스 (Clarence Jones)

에콰도르에서 세계 최초의 기독교 라디오 방송국인 HCJB를 설립하여 복음 전파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습니다.

돈 리처드슨 (Don Richardson)

인도네시아 뉴기니의 사위 부족에게 복음을 전하며, 그들의 문화 속에 숨겨진 '화해의 아이' 개념을 통해 복음을 효과적으로 설명했습니다.

브루스 올슨 (Bruce Olson)

19세의 나이에 콜롬비아 모틸론 인디언 부족에게 들어가 그들과 함께 살며 복음을 전하고 그들의 언어로 성경을 번역했습니다.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Horace Grant Underwood)

한국 최초의 미국 장로교 선교사로, 새문안교회와 연세대학교의 전신인 연희전문학교를 설립했습니다.

헨리 거하드 아펜젤러 (Henry Gerhard Appenzeller)

한국 최초의 감리교 선교사로, 배재학당을 설립하고 정동제일교회를 담임했습니다.

메리 스크랜튼 (Mary Scranton)

한국 최초의 여성 선교사로, 이화학당(이화여자대학교의 전신)을 설립하여 한국 여성 교육의 문을 열었습니다.

로제타 셔우드 홀 (Rosetta Sherwood Hall)

한국에서 의료 선교사로 활동하며, 한국 최초의 여성 의료 교육 기관을 설립하고 점자 교육을 도입했습니다.

제임스 게일 (James Scarth Gale)

한영사전을 편찬하고 성경을 한국어로 번역하는 등 한국 문화와 언어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선교했습니다.

윌리엄 린튼 (William Linton)

4대에 걸쳐 한국에서 교육과 선교에 헌신한 린튼 가문의 시작으로, 한남대학교를 설립했습니다.

칼 귀츨라프 (Karl Gützlaff)

한국을 방문한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로, 주기도문을 한글로 번역하고 감자와 포도 재배법을 전해주었습니다.

로버트 저메인 토마스 (Robert Jermain Thomas)

대동강 변에서 성경을 나눠주다 순교한 최초의 개신교 순교자로, 그의 죽음은 평양 대부흥의 씨앗이 되었습니다.

유진 벨 (Eugene Bell)

미국 남장로교 선교사로,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교회 개척과 교육, 의료 사역에 헌신했습니다.

와치만 니 (Watchman Nee)

중국의 가정교회 운동 지도자로, 그의 저술과 신학은 전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존 송 (John Sung)

20세기 중국이 낳은 위대한 부흥사로, 중국과 동남아시아 전역을 다니며 회개와 부흥 운동을 이끌었습니다.

사두 선다 싱 (Sadhu Sundar Singh)

인도의 기독교 신비가이자 순회 전도자로, 인도의 전통적인 '사두'의 모습으로 복음을 전하며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었습니다.

도요히코 가가와 (Toyohiko Kagawa)

일본의 사회운동가이자 기독교 사상가로, 빈민가에 들어가 노동자, 농민과 함께 살며 사회 개혁과 복음 전파에 힘썼습니다.

제임스 프레이저 (James O. Fraser)

중국 윈난성의 리수족에게 복음을 전하며, 끈질긴 기도와 인내로 놀라운 부흥을 경험했습니다.

엘리자베스 엘리엇 (Elisabeth Elliot)

남편 짐 엘리엇이 순교한 후에도 에콰도르에 남아, 자신들의 남편을 죽인 와오다니족에게 복음을 전한 용서와 사랑의 증인입니다.

사무엘 아자이 크라우더 (Samuel Ajayi Crowther)

노예 출신으로, 나이지리아 최초의 아프리카인 성공회 주교가 되어 요루바어 성경 번역을 이끌었습니다.

멜빌 콕스 (Melville Cox)

'천 명의 일꾼이 아프리카에서 쓰러질지라도, 아프리카를 포기하지 말라'는 유언을 남긴 라이베리아 최초의 감리교 선교사입니다.

알렉산더 맥케이 (Alexander Mackay)

'우간다의 맥케이'로 불리며, 공학 기술을 활용하여 우간다 선교의 기초를 놓았습니다.

조지 그렌펠 (George Grenfell)

콩고 강 유역을 탐험하며 지도를 제작하고 복음을 전한 침례교 선교사입니다.

프랑수아 콜리야르 (François Coillard)

프랑스 개신교 선교사로, 아프리카 남부 잠베지 강 유역에서 로지족에게 복음을 전했습니다.

윌리엄 웨이드 해리스 (William Wade Harris)

라이베리아 출신의 부흥사로,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대규모 회심 운동을 이끌었습니다.

찰스 드 푸코 (Charles de Foucauld)

알제리 사하라 사막의 투아레그족 가운데서 은수자처럼 살며 그들의 친구가 되어준 가톨릭 사제입니다.

요한 루트비히 크라프 (Johann Ludwig Krapf)

동아프리카에서 활동하며 스와힐리어 성경을 번역하고 킬리만자로 산을 유럽에 최초로 알렸습니다.

요하네스 레프만 (Johannes Rebmann)

크라프와 함께 동아프리카에서 사역한 독일 선교사입니다.

앤 스틸 (Ann Steal)

콩고에서 50년 이상 사역하며 여성 교육과 제자 양육에 헌신한 여성 선교사입니다.

마테오 리치 (Matteo Ricci)

명나라 시대 중국에 천주교를 전파한 예수회 선교사로, 서양의 과학과 문물을 소개하며 적응주의 선교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티모시 리처드 (Timothy Richard)

중국에서 기근 구제, 교육, 출판 활동을 통해 사회 개혁에 영향을 미친 영국 침례교 선교사입니다.

이소벨 쿤 (Isobel Kuhn)

중국 윈난성의 리수족과 태국에서 사역하며 많은 저서를 통해 선교의 삶을 알렸습니다.

그래함 스테인스 (Graham Staines)

인도 오리사 주에서 30년 넘게 나병 환자들을 섬기다 두 아들과 함께 방화로 순교했습니다.

판디타 라마바이 (Pandita Ramabai)

인도의 브라만 계급 출신으로 기독교로 개종한 후, 여성 교육과 인권 향상을 위해 일생을 바친 사회 개혁가입니다.

E. 스탠리 존스 (E. Stanley Jones)

인도의 지성인들에게 복음을 전하며 '기독교 아쉬람(영성 수련 공동체)' 운동을 시작한 감리교 선교사입니다.

제이콥 드셰이저 (Jacob DeShazer)

2차 대전 당시 일본 본토 공습에 참여했던 미군이었으나, 전쟁 후 일본 선교사가 되어 용서와 화해의 메시지를 전했습니다.

미쓰오 후치다 (Mitsuo Fuchida)

진주만 공습을 이끈 일본 해군 비행사였으나, 드셰이저의 간증에 감화받아 기독교인이 된 후 복음 전도자가 되었습니다.

피터 파커 (Peter Parker)

중국 최초의 의료 선교사로, 광저우에 병원을 세우고 서양 의술을 소개했습니다.

조나단 고포스 (Jonathan Goforth)

캐나다 출신으로 중국과 만주 지역에서 강력한 부흥 운동을 이끈 장로교 선교사입니다.

알렉산더 더프 (Alexander Duff)

인도에서 서양식 교육을 통해 복음을 전하는 '교육 선교'의 모델을 제시했습니다.

사무엘 마펫 (Samuel A. Moffett)

평양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숭실대학교의 전신을 설립하고, 평양 대부흥 운동의 주역으로 활동했습니다.

윌리엄 베어드 (William M. Baird)

숭실대학교를 설립하고 교육을 통해 한국의 지도자들을 양성한 교육 선교사입니다.

말콤 펜윅 (Malcolm Fenwick)

한국 침례교의 창시자로, 원산을 중심으로 활동했습니다.

조셉 헨리 데이비스 (Joseph Henry Davies)

호주 장로교 최초의 한국 선교사로, 부산 지역에서 사역하다 부임 1년 만에 순직했습니다.

윌프레드 그렌펠 (Wilfred Grenfell)

캐나다 래브라도와 뉴펀들랜드의 척박한 해안 지역에서 평생을 의료 선교에 바친 '바다의 성자'입니다.

후니페로 세라 (Junípero Serra)

18세기 스페인 프란치스코회 소속으로, 현재 미국 캘리포니아 지역에 9개의 선교 본부를 설립했습니다.

존 메이슨 펙 (John Mason Peck)

'서부의 사도'라 불리며, 19세기 미국 서부 개척지에서 교회를 세우고 순회하며 복음을 전했습니다.

마커스 휘트먼 & 나르시사 휘트먼 (Marcus & Narcissa Whitman)

오리건 트레일을 개척하여 미국 북서부 인디언들에게 복음을 전하다 순교한 부부 선교사입니다.

바르톨로메 데 라스 카사스 (Bartolomé de las Casas)

16세기 스페인의 도미니코회 사제로, 아메리카 원주민에 대한 식민주의자들의 착취를 고발하고 원주민의 인권을 옹호했습니다.

한스 에게데 (Hans Egede)

'그린란드의 사도'로, 18세기 덴마크-노르웨이의 루터교 선교사로서 그린란드의 이누이트족에게 복음을 전했습니다.

오스카 로메로 (Óscar Romero)

엘살바도르의 대주교로, 가난하고 억압받는 이들의 편에 서서 사회 정의를 외치다 미사 집전 중 암살당했습니다.

존 윌리엄스 (John Williams)

'남태평양의 사도'로 불리며, 선교선을 타고 수많은 섬에 복음을 전했으나 바누아투에서 식인 풍습으로 인해 순교했습니다.

존 콜리지 패티슨 (John Coleridge Patteson)

멜라네시아의 성공회 초대 주교로, 현지 문화와 언어를 존중하며 사역하다 노예상인으로 오인받아 순교했습니다.

하이람 빙엄 (Hiram Bingham)

미국 회중교회 선교사로, 1820년 하와이에 도착하여 하와이 복음화와 문자 개발에 기여했습니다.

플로렌스 영 (Florence Young)

호주와 솔로몬 제도에서 사역하며 원주민들을 위한 교육과 복음 전도에 힘썼습니다.

폴 브랜드 (Paul Brand)

인도에서 나병(한센병) 환자 치료와 재활 수술의 세계적인 권위자로, 환자들의 육체와 영혼을 함께 치유했습니다.

데미안 신부 (Father Damien)

벨기에 출신 가톨릭 사제로, 하와이 몰로카이섬에 격리된 한센병 환자들과 함께 살며 그들을 돌보다 자신도 그 병으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프랭크 로바크 (Frank Laubach)

필리핀에서 '한 사람이 한 사람을 가르치자(Each One Teach One)'라는 문맹 퇴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전 세계에 보급했습니다.

케네스 파이크 (Kenneth Pike)

위클리프 성경번역선교회 소속의 저명한 언어학자로, 소수 민족의 언어 분석과 성경 번역에 큰 공헌을 했습니다.

레이철 세인트 (Rachel Saint)

오빠 네이트 세인트가 순교한 에콰도르 와오다니(아우카)족에게 들어가, 그들과 평생 함께 살며 복음을 전하고 신약 성경을 번역했습니다.

리처드 범브란트 (Richard Wurmbrand)

공산주의 치하 루마니아에서 신앙 때문에 14년간 옥고를 치렀으며, 석방 후 '순교자의 소리(Voice of the Martyrs)'를 설립하여 핍박받는 교회를 도왔습니다.

도슨 트로트맨 (Dawson Trotman)

네비게이토 선교회를 창설하여, 일대일 제자 양육과 성경 암송을 통한 평신도 훈련에 힘썼습니다.

빌 브라이트 (Bill Bright)

국제 대학생 선교회(CCC)를 창설하고, '네 가지 영적 원리'와 영화 '예수'를 통해 전 세계적인 복음 전도 운동을 이끌었습니다.

디트리히 본회퍼 (Dietrich Bonhoeffer)

독일의 신학자이자 목회자로, 나치에 저항하며 '고백교회'를 이끌었고, 그의 저서 '제자도의 대가'는 선교적 삶의 깊이를 더해주었습니다.

조이 도슨 (Joy Dawson)

국제 예수전도단(YWAM)의 지도자 중 한 명으로, 중보기도와 '하나님의 음성을 듣는 삶'에 대한 가르침으로 전 세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니콜라우스 폰 진젠도르프 (Nikolaus von Zinzendorf)

18세기 독일 경건주의 운동의 지도자로, 모라비안 공동체를 이끌며 전 세계에 선교사를 파송하는 개신교 최초의 조직적인 선교 운동을 시작했습니다.

릴리어스 트로터 (Lilias Trotter)

뛰어난 재능을 가진 빅토리아 시대의 화가였으나, 모든 영광을 뒤로하고 알제리로 건너가 40년간 무슬림 여성과 아이들을 섬겼습니다.

조지 휘트필드 (George Whitefield)

18세기 영국과 미국 식민지에서 대각성 운동을 이끈 위대한 설교가로, 그의 순회 설교는 수많은 사람들을 회심으로 이끌었습니다.

존 웨슬리 (John Wesley)

감리교의 창시자로, 영국 전역을 말을 타고 누비며 복음을 전하고 사회 개혁을 이끈 열정적인 복음 전도자입니다.

윌리엄 부스 (William Booth)

구세군(The Salvation Army)의 창립자로, 런던의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에게 다가가 '수프, 비누, 그리고 구원'을 외치며 영적, 육체적 필요를 채웠습니다.

보딜 비요른 (Bodil Biørn)

노르웨이 출신 선교사로, 20세기 초 오스만 제국에서 아르메니아인 대량 학살의 참상을 목격하고 수많은 고아와 난민을 돌보았습니다.

카렌 예페 (Karen Jeppe)

덴마크 출신 선교사로, 아르메니아인 대학살 이후 시리아로 피신한 수천 명의 아르메니아 여성과 아이들을 구출하고 재활을 도왔습니다.

R. 케네스 스트라칸 (R. Kenneth Strachan)

라틴 아메리카 선교회(Latin America Mission)를 이끌며, '만인 복음 전도 운동(Evangelism-in-Depth)'을 통해 현지 교회가 스스로 전도하고 성장하도록 도왔습니다.

피터 캐머런 스콧 (Peter Cameron Scott)

아프리카 선교사였으나 건강 문제로 귀국한 후, 아프리카의 심장부를 향한 열정을 품고 '아프리카 내지 선교회(Africa Inland Mission, AIM)'를 창설했습니다.

제임스 톰슨 (James Thomson)

19세기 초 남미 여러 나라를 순회하며 성경을 보급하고, 상호 교육법인 '랭커스터 시스템'을 도입하여 교육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허버트 케인 (J. Herbert Kane)

선교학의 세계적인 권위자로, 그의 저서들은 여러 세대의 선교사들에게 선교의 원리와 실제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했습니다.

피델릭 M. 가이스러 (Fidelic M. Geisler)

브라질 아마존 정글 깊숙한 곳에서 원주민 부족과 함께 살며 복음을 전하고 그들의 문화를 기록했습니다.

루이스 팔라우 (Luis Palau)

아르헨티나 출신의 세계적인 복음 전도자로, 빌리 그레이엄의 뒤를 이어 대규모 전도 집회와 미디어 사역을 통해 수많은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했습니다.

조지 오티스 주니어 (George Otis Jr.)

'변화의 파수꾼(The Sentinel Group)'을 설립하고 '땅을 변화시키는 기도(Transformations)' 영상 시리즈를 통해, 연합 기도 운동이 지역 사회에 가져오는 놀라운 변화를 기록하고 전파했습니다.

달린 로즈 (Darlene Rose)

2차 세계 대전 중 인도네시아의 정글 속 일본군 포로수용소에서 4년간 겪은 고난과 믿음의 승리를 간증하여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주었습니다.

존 스토트 (John Stott)

20세기 복음주의 신학의 거장으로, '로잔 언약' 작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복음 전도와 사회적 책임의 통합을 강조했습니다.

마이클 그린 (Michael Green)

영국 성공회 사제이자 복음 전도자로, 옥스퍼드 대학교 등 캠퍼스에서 지성인들에게 변증법적으로 복음을 전하는 데 탁월한 은사를 보였습니다.

랄프 윈터 (Ralph D. Winter)

'미전도 종족' 개념을 대중화하고 '미국 세계 선교 센터(U.S. Center for World Mission)'를 설립하여, 아직 복음을 듣지 못한 종족에게 선교의 초점을 맞추도록 도전했습니다.

도널드 맥가브란 (Donald McGavran)

'교회 성장학'의 아버지로, 선교지에서 교회가 어떻게 성장하는지를 연구하여 보다 효과적인 선교 전략을 제시했습니다.

폴 리틀 (Paul Little)

대학생 선교단체인 IVF에서 활동하며, 명쾌하고 논리적인 변증으로 수많은 대학생들을 그리스도께 인도했습니다.

레베카 마니고 피펏 (Rebecca Manley Pippert)

'삶으로 전도하기(Out of the Saltshaker)'의 저자로, 평범한 그리스도인들이 자신의 삶 속에서 자연스럽게 복음을 나눌 수 있도록 격려하고 실제적인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비숍 페스토 키벵게레 (Bishop Festo Kivengere)

'아프리카의 빌리 그레이엄'으로 불린 우간다의 성공회 주교로, 이디 아민의 독재 정권 하에서 박해를 피해 망명하면서도 용서와 화해의 복음을 전했습니다.

플로이드 맥클랑 (Floyd McClung)

국제 예수전도단(YWAM)의 지도자로, 암스테르담의 홍등가에 들어가 '생명의 집' 사역을 시작하는 등 소외되고 상처받은 젊은이들을 섬겼습니다.

토마스 왕 (Thomas Wang)

중국인 목회자이자 선교 지도자로, '중국 복음화 운동(Chinese Coordination Centre of World Evangelism)'을 이끌며 전 세계에 흩어진 중국 디아스포라 교회를 선교에 동원했습니다.

존 파이퍼 (John Piper)

미국의 신학자이자 목회자로, '기독교 희락주의'를 통해 선교의 궁극적인 동기가 하나님의 영광을 맛보는 기쁨에 있음을 역설했습니다.

팀 켈러 (Tim Keller)

뉴욕 맨해튼에서 리디머 장로교회를 개척하여, 회의적인 도시의 지성인들에게 복음의 능력과 지혜를 설득력 있게 제시한 현대 도시 선교의 모델입니다.

닉 부이치치 (Nick Vujicic)

팔다리 없이 태어났지만, 전 세계를 다니며 자신의 삶을 통해 절망을 이기는 하나님의 사랑과 희망을 전하는 살아있는 증인입니다.

하이디 베이커 (Heidi Baker)

남편 롤랜드와 함께 전쟁으로 피폐해진 모잠비크에서 '아이리스 글로벌(Iris Global)' 사역을 통해 수천 명의 고아들을 돌보며, 강력한 성령의 역사를 통해 기적적인 부흥을 이끌고 있습니다.

니키 크루즈 (Nicky Cruz)

뉴욕의 악명 높은 갱단 두목이었으나, 데이비드 윌커슨 목사의 전도를 받고 회심하여 전 세계 청소년들을 위한 복음 전도자가 되었습니다.

데이비드 윌커슨 (David Wilkerson)

시골 목사였으나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고 뉴욕의 갱단에게 복음을 전했으며, '십자가와 칼'의 저자이자 '틴 챌린지' 마약 재활 사역의 창시자입니다.

헨리 벤 (Henry Venn)

19세기 영국 성공회 선교부(CMS) 총무로, '자립, 자치, 자전(3-self)' 원리를 통해 현지인 중심의 자립 교회 설립을 강조했습니다.

루퍼스 앤더슨 (Rufus Anderson)

미국 해외선교위원회(ABCFM) 총무로서 '3자 원칙'을 주창하며 선교사의 목표는 현지 교회의 자립임을 분명히 했습니다.

존 네비우스 (John L. Nevius)

중국 선교사였으며, 그의 '네비우스 방법'은 자립 전도, 자력 정치, 자력 운영을 핵심으로 하여 한국 초기 선교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레슬리 뉴비긴 (Lesslie Newbigin)

인도 선교사로 섬긴 후 영국으로 돌아와, '서구 사회를 향한 선교'의 필요성을 역설한 20세기 최고의 선교 신학자 중 한 명입니다.

데이비드 보쉬 (David Bosch)

남아프리카공화국 출신의 선교학자로, 그의 저서 『변화하고 있는 선교』는 현대 선교 신학의 필독서로 꼽힙니다.

앤드루 월스 (Andrew F. Walls)

'월드 크리스채너티(World Christianity)' 연구의 선구자로, 기독교의 중심이 서구에서 비서구로 이동하고 있음을 학문적으로 조명했습니다.

A. B. 심슨 (A. B. Simpson)

미국 기독교 선교 연맹(C&MA)의 창설자로, '네 가지 복음(사중복음)'을 강조하며 해외 선교에 대한 뜨거운 열정으로 교회를 동원했습니다.

오스왈드 J. 스미스 (Oswald J. Smith)

캐나다의 목회자로, 자신의 교회를 '선교 중심적 교회'의 모델로 만들어 전 세계 선교사들을 후원하는 일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습니다.

왕밍다오 (Wang Ming-Dao)

중국의 신사참배와 공산당의 통제를 거부하고 신앙의 순수성을 지키다 20년 이상 투옥되었으나, 굴하지 않는 믿음으로 중국 가정교회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비앙 카토 (Byang H. Kato)

나이지리아 출신의 신학자로, 아프리카 복음주의 신학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혼합주의의 위험성을 경고하다 비행기 사고로 순교했습니다.

조셉 바즈 (Joseph Vaz)

17세기 인도 고아 출신 가톨릭 사제로, 네덜란드의 박해 아래 있던 스리랑카(실론)에 몰래 들어가 가톨릭 신앙 공동체를 재건하고 지켰습니다.

D. G. S. 디나카란 (D. G. S. Dhinakaran)

인도의 복음 전도자로, 'Jesus Calls' 사역을 통해 대규모 기도 집회와 미디어 사역으로 인도 전역에 복음을 전했습니다.

프랭크 스코필드 (Frank W. Schofield)

'석호필'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캐나다 선교사로, 3.1 운동 당시 일제의 만행을 전 세계에 알리고 한국의 독립을 도운 의인입니다.

캐서린 부스 (Catherine Booth)

남편 윌리엄 부스와 함께 구세군을 창립한 '구세군의 어머니'로, 여성 사역자의 권리를 옹호하고 사회적 약자를 돕는 데 앞장섰습니다.

일리저 애그뉴 (Eliza Agnew)

스리랑카에서 40년 이상 여성 교육에 헌신하며 기숙학교를 운영해 '수천 명의 딸을 둔 어머니'로 불렸습니다.

피델리아 피스크 (Fidelia Fiske)

19세기 페르시아(이란) 지역에 파송된 최초의 미혼 여성 선교사 중 한 명으로, 여성들을 위한 학교를 세워 중동 여성 교육의 문을 열었습니다.

존 모트 (John R. Mott)

YMCA와 세계학생기독교연맹(WSCF)을 이끈 지도자로, '이 세대가 가기 전에 세계 복음화를'이라는 표어 아래 전 세계 청년들을 선교에 동원했으며 1946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습니다.

로버트 피어스 (Robert 'Bob' Pierce)

한국 전쟁의 참상을 목격한 후 '가장 궁핍한 이들을 돕겠다'는 서원으로 국제 월드비전과 사마리안 퍼스를 설립했습니다.

토마스 바나도 (Thomas Barnardo)

영국에서 버려진 아이들을 위한 '바나도 홈'을 설립하여 수만 명의 고아와 빈민 아동을 돌본 사회 개혁가입니다.

코리 텐 붐 (Corrie ten Boom)

2차 대전 중 유대인을 숨겨주다 나치 수용소에 갇혔고, 풀려난 후 전 세계를 다니며 용서와 화해의 메시지를 전한 '그리스도의 방랑자'입니다.

롤랜드 빙엄 (Rowland Bingham)

아프리카 '수단 내지 선교회(Sudan Interior Mission, 현 SIM)'의 창설자로, 수많은 실패와 동료들의 죽음에도 굴하지 않고 서아프리카 복음화의 문을 열었습니다.

D. L. 무디 (D. L. Moody)

19세기 미국과 영국에서 강력한 도시 부흥 운동을 이끌었으며, 무디 성경학교를 설립해 수많은 선교사들을 훈련시켰습니다.

패니 크로스비 (Fanny Crosby)

맹인 찬송가 작사가로, '예수로 나의 구주 삼고' 등 8,000편이 넘는 찬송시를 통해 전 세계 성도들에게 신앙의 위로와 영감을 주었습니다.

요한나 빈스트라 (Johanna Veenstra)

나이지리아 티브족을 위해 헌신한 미국 개혁교회 선교사로, 현지 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교회를 세우고 성경을 번역했습니다.

호레이스 앨런 (Horace N. Allen)

한국 최초의 개신교 의료 선교사이자 외교관으로, 제중원(세브란스병원의 전신)을 설립하는 길을 열었습니다.

수잔나 웨슬리 (Susanna Wesley)

존 웨슬리와 찰스 웨슬리의 어머니로, 직접 선교사로 활동하지는 않았지만 경건한 신앙 교육으로 위대한 영적 지도자들을 길러낸 '감리교의 어머니'입니다.

에이다 해버션 (Ada R. Habershon)

영국의 찬송가 작가이자 기독교 강연가로, '나의 생명 드리니' 등 수많은 찬송가를 통해 복음의 메시지를 전파했습니다.

마가렛 케니언 (Margaret Dryburgh)

2차 대전 중 일본군 포로수용소에서 '보컬 오케스트라'를 조직하여 동료 포로들에게 희망과 위로를 주었던 스코틀랜드 선교사입니다.

아치볼드 글로버 (Archibald Glover)

'케임브리지 7인' 중 한 명으로, 허드슨 테일러와 함께 중국 내지 선교회에서 사역하며 중국 복음화를 위해 헌신했습니다.

딕 힐리스 (Dick Hillis)

대만에서 '해외십자군(Overseas Crusades, 현 OC International)'을 창설하여, 현지인 지도자 훈련과 교회 개척 운동을 통해 아시아 선교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조셉 부스 (Joseph Booth)

아프리카에서 '아프리카인을 위한 아프리카(Africa for the African)'를 주장한 급진적인 선교사로, 아프리카 민족주의와 독립 운동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윌리엄 로건 (William Logan)

인도의 말라바르 해안 지역에서 하층 계급의 권익을 보호하고 사회 개혁을 위해 힘쓴 스코틀랜드 출신 행정가이자 선교적 인물입니다.

이반 프로카노프 (Ivan Prokhanov)

'러시아의 마르틴 루터'로 불리며, 20세기 초 러시아 복음주의 기독교 운동을 이끈 지도자입니다.

샘 폴라드 (Sam Pollard)

중국 윈난성의 먀오족에게 복음을 전하며, 먀오족의 언어를 표기할 수 있는 '폴라드 문자'를 창안하여 성경 번역과 교육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노르만 그럽 (Norman Grubb)

C.T. 스터드의 사위로, 그의 뒤를 이어 세계 복음화 십자군(WEC)을 이끌며 믿음 선교의 원리를 전파했습니다.

루스 터커 (Ruth A. Tucker)

선교 역사학자로, 『선교사의 길』 등의 저서를 통해 역사 속 수많은 선교사들의 삶을 조명하고 후대에 알리는 데 공헌했습니다.

월터 가웬 (Walter Gowen)

캐나다 선교사로 아르헨티나 차코 지역 원주민들에게 복음을 전하다 순교했습니다.

폴 칼슨 (Paul Carlson)

콩고에서 의료 선교사로 활동하다 1964년 심바 반란 당시 인질로 잡혀 순교했습니다.

베티 그린 (Betty Greene)

'선교 항공 협회(Mission Aviation Fellowship, MAF)'의 첫 여성 조종사로서 오지 선교에 큰 획을 그었습니다.

프랭클린 핼버슨 (Franklin Halverson)

한국에서 활동한 미국 선교사로, 성서공회 총무로 재직하며 쉬운 우리말 성경 번역과 보급에 힘썼습니다.

빌 월리스 (William 'Bill' Wallace)

중국에서 의료 선교사로 활동한 침례교 의사로, 공산당에 의해 간첩 혐의로 투옥되어 순교했습니다.

로더릭 매켄지 (Roderick Mackenzie)

캐나다 선교사로, 한국에서 결핵 퇴치 사업에 헌신하며 '크리스마스 씰' 운동을 처음 도입했습니다.

찰스 핀니 (Charles Finney)

19세기 미국의 제2차 대각성 운동을 이끈 부흥사로, 그의 열정적인 설교는 수많은 사람들을 회심시키고 사회 개혁과 선교 운동에 큰 활력을 불어넣었습니다.

찰스 스터드 (C.T. Studd)

영국의 유명 크리켓 선수였으나 모든 부와 명예를 버리고 중국, 인도, 콩고에서 헌신한 '케임브리지 7인'의 멤버입니다.

mainlogo.png

SWIM 세계인터넷선교협의회는 (KWMA소속단체) 1996년 창립한 선교단체로, 인터넷과 IT를 활용하여 30여 년간 세계선교에 기여해 왔습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