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독교 재정 원칙

3. 헌금과 나눔 (Giving & Sharing) - 20가지

3. 헌금과 나눔 (Giving & Sharing) - 20가지 핵심 원칙 💸💖
서론: 청지기의 가장 중요한 사명
헌금과 나눔은 기독교인의 재정 관리 원칙에서 가장 활발하고 역동적인 부분입니다. 이는 단순한 자선 행위나 종교적 의무를 넘어,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고 이웃 사랑을 실천하는 청지기의 가장 중요한 사명입니다. 우리가 가진 모든 것이 하나님께로부터 왔음을 고백하며, 그분의 뜻에 따라 재물을 흘려보낼 때, 우리는 재물의 노예가 아닌 주인의 대리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게 됩니다. 헌금과 나눔의 원칙은 우리의 재정 생활을 영원한 가치에 연결시키며, 우리 영혼에 세상이 줄 수 없는 기쁨과 자유를 선사합니다.

다음은 헌금과 나눔의 정신과 실천을 아우르는 20가지 핵심 원칙입니다.

A. 헌금과 나눔의 영적 토대 (Spiritual Foundation)
1. 하나님의 주권 인정 (인정의 원칙)
"땅과 거기에 충만한 것과 세계와 그 중에 사는 자들은 다 여호와의 것이로다" (시편 24:1).
모든 재물의 궁극적인 소유자는 하나님이십니다. 헌금은 우리가 가진 것 중 일부를 드리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이 하나님의 것임을 고백하는 신앙 고백입니다.

2. 첫 열매의 원칙 (우선순위의 원칙)
"네 재물과 네 소산물의 처음 익은 열매로 여호와를 공경하라" (잠언 3:9).
헌금은 수입에서 가장 먼저 떼어내어 드려야 합니다. 이는 헌금을 지출 후 남은 것으로 여기는 태도와 달리, 하나님을 우리의 삶과 재정의 최우선 순위에 두겠다는 의지적인 결단입니다.

3. 감사와 사랑의 표현 (동기의 원칙)
헌금과 나눔의 근본 동기는 하나님을 향한 감사와 이웃을 향한 사랑이어야 합니다. 의무감이나 죄책감이 아니라, 우리에게 생명과 구원을 주신 은혜에 대한 자발적이고 기쁜 반응이어야 합니다.

4. 탐심을 깨뜨리는 무기 (해방의 원칙)
나눔은 재물에 대한 우리의 집착과 탐심을 깨뜨리는 가장 강력한 영적 무기입니다. 아낌없이 줄 수 있다는 것은, 우리가 돈을 우상으로 삼지 않고 오직 하나님 한 분만을 신뢰한다는 증거입니다.

5. 하늘에 보물을 쌓음 (영원성의 원칙)
"오직 너희를 위하여 보물을 하늘에 쌓아 두라" (마태복음 6:20).
헌금과 나눔은 이 땅에서 소멸될 재물을 영원한 가치를 지닌 하나님 나라에 투자하는 행위입니다. 이는 가장 지혜로운 영적 투자입니다.

6. 청지기의 충성도 측정 (충성의 원칙)
헌금과 나눔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맡기신 재물을 우리가 얼마나 충성스럽고 지혜롭게 관리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척도입니다. 작은 일에 충성하는 자에게 더 큰 것을 맡기신다는 주님의 말씀을 기억해야 합니다(누가복음 16:10).

7. 드림의 기쁨 (기쁨의 원칙)
"각각 그 마음에 정한 대로 할 것이요 인색함으로나 억지로 하지 말지니 하나님은 즐겨 내는 자를 사랑하시느니라" (고린도후서 9:7).
헌금은 억지로 하는 의무가 아니라, 기쁨과 자원하는 마음으로 드려야 합니다. 진정한 기쁨은 받는 것보다 주는 것에서 옵니다.

B. 십일조와 헌금의 실천 (Tithing and Offering Practice)
8. 십일조의 성경적 의미 (구별의 원칙)
십일조는 수입의 10분의 1을 구별하여 하나님께 드리는 행위입니다. 이는 구약 시대부터 내려온 하나님과의 언약 관계의 상징이며, 우리의 모든 재정이 하나님의 은혜로 유지되고 있음을 선포하는 신앙의 경계선입니다.

9. 온전한 십일조의 범위 (전체의 원칙)
십일조는 수입이 발생했을 때 **세금 등을 공제하기 전의 총 수입(Gross Income)**을 기준으로 드리는 것이 성경적 원칙에 부합합니다. 이는 하나님께 드려야 할 부분을 먼저 온전하게 구별하겠다는 태도입니다.

10. 소득의 종류에 따른 십일조 (수입 포괄의 원칙)
십일조는 급여뿐만 아니라, 사업 소득, 투자 수익, 부동산 수익, 심지어 예기치 않은 보너스 등 모든 종류의 소득에서 구별하여 드려야 합니다.

11. 구제와 선교 헌금 (확장의 원칙)
십일조 외에 드리는 **자유 헌금(감사, 건축, 선교, 구제 헌금)**은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하고 이웃을 섬기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우리의 재정적 책임이 우리가 속한 교회를 넘어 세상으로 뻗어나감을 의미합니다.

12. 미리 계획된 헌금 (계획의 원칙)
"매주 첫날에 너희 각 사람이 수입에 따라 모아 두라" (고린도전서 16:2).
헌금은 충동적인 행위가 아니라, 재정 계획에 따라 미리 예산으로 책정되어야 합니다. 이는 헌금을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게 합니다.

13. 재정적 위기 속에서도 지속 (신실함의 원칙)
재정적으로 어렵거나 위기가 닥쳤을 때 헌금을 멈추지 않고 지속하는 것은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시험하는 믿음의 행위입니다. 이 시기의 헌금은 우리의 청지기 의식이 가장 빛나는 순간입니다.

C. 나눔과 구제의 실천 (Sharing and Charity)
14. 이웃 사랑의 실천 (사랑의 원칙)
나눔과 구제는 **"네 이웃을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 (마태복음 22:39)**는 대계명을 재정적으로 실천하는 것입니다. 특별히 가난한 자, 과부, 고아, 나그네와 같이 사회적 약자를 돕는 데 적극적이어야 합니다.

15. 오른손이 하는 일을 왼손이 모르게 (겸손의 원칙)
"너는 구제할 때에 오른손이 하는 것을 왼손이 모르게 하여 네 구제함을 은밀하게 하라" (마태복음 6:3-4).
나눔은 겸손함과 은밀함 속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사람들에게 보이거나 칭찬받기 위한 수단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16. 필요에 따라 베풂 (구체성의 원칙)
나눔은 막연한 기부가 아니라, 도움이 필요한 곳과 사람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그들의 필요를 채워주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선교사 후원, 재난 지역 구호, 결식 아동 지원 등 구체적인 목적을 갖습니다.

17. 재물과 시간을 함께 나눔 (전인격적 원칙)
진정한 나눔은 돈뿐만 아니라, 시간, 재능, 노동 등 우리가 가진 모든 자원을 함께 나누는 것입니다. 재정적으로 넉넉하지 않더라도, 우리의 봉사와 수고를 나눌 수 있습니다.

18. 씨를 뿌리는 마음 (확신의 원칙)
"적게 심는 자는 적게 거두고 많이 심는 자는 많이 거둔다 하는도다" (고린도후서 9:6).
헌금과 나눔은 씨앗을 뿌리는 행위입니다. 이는 반드시 물질적 보상으로 돌아온다는 의미를 넘어, 하나님께서 그 이상의 영적 축복과 풍성한 은혜로 채워주실 것을 확신하는 믿음입니다.

19. 불필요한 소비를 줄여 나눔 (절제의 원칙)
나눔은 우리가 소비하고 남은 것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나누기 위해 의도적으로 절제하고 줄인 돈으로 하는 것입니다. 불필요한 지출을 줄여 구제 예산을 확보하는 것은 진정한 희생적 나눔입니다.

20. 나누면서 가르침 (세대 전수의 원칙)
헌금과 나눔의 기쁨과 중요성을 자녀와 다음 세대에게 가르쳐야 합니다. 자녀들이 나눔을 체험하게 하고, 재물을 대하는 성경적 가치관을 일찍부터 심어주는 것은 청지기 사명을 영속시키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결론: 헌금과 나눔이 가져오는 축복
헌금과 나눔의 실천은 우리의 재정 상태를 바꾸는 것을 넘어, 우리의 마음을 변화시키고 하나님과의 관계를 깊게 합니다. 우리가 기쁨으로 나눌 때, 우리는 물질에 대한 집착으로부터 자유로워지고,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평안과 자족을 누리게 됩니다. 이 원칙들은 우리가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하기 위해 부르심을 받은 재정 관리자로서 마땅히 감당해야 할 거룩한 특권이자 축복입니다.

강의 읽음 등록
mainlogo.png

SWIM 세계인터넷선교협의회는 (KWMA소속단체) 1996년 창립한 선교단체로, 인터넷과 IT를 활용하여 30여 년간 세계선교에 기여해 왔습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