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독교 재정 원칙

십일조 외에도 감사 헌금, 선교 헌금 등 다양한 헌금을 드립니다.

십일조 외에도 감사 헌금, 선교 헌금 등 다양한 헌금을 드립니다
서론: 은혜의 넘침과 자발적인 봉헌
기독교인의 재정 원칙에서 **십일조(Tithe)**가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는 '최소한의 신앙 고백'이자 '구별된 영역'이라면, **감사 헌금, 선교 헌금, 구제 헌금 등 다양한 헌금(Offerings)**은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에 대한 자발적이고 기쁜 반응입니다. 이 다양한 헌금들은 우리의 마음이 물질적인 것에 갇히지 않고, 하나님의 나라와 이웃을 향해 기꺼이 흘러가도록 돕는 영적 훈련의 핵심입니다.

이러한 봉헌은 더 이상 율법적인 '의무'가 아닙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은혜에 압도된 영혼이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예배' 행위입니다. 헌금의 다양화는 우리의 재정적 책임이 우리가 속한 교회의 유지(십일조)를 넘어, 전 세계적인 복음 전파(선교)와 사회적 약자 구제(나눔)로 확장됨을 의미합니다. 이 글에서는 십일조를 넘어선 다양한 헌금의 성경적 의미와 실천 원칙을 심도 있게 탐구하여, 우리의 재정 생활을 더욱 풍성한 영적 축복의 통로로 삼고자 합니다.

1. 헌금의 두 축: 주권 인정과 은혜의 반응
헌금의 원칙은 크게 '주권 인정(십일조)'과 '은혜의 반응(다양한 헌금)'이라는 두 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1. 십일조: 거룩한 분깃의 반환 (주권 인정)
십일조는 우리의 수입에서 10분의 1이 이미 하나님의 것이었음을 인정하고 돌려드리는 행위입니다. 이는 우리의 재물이 하나님의 통제 아래 있음을 고백하며, 재정 생활에서 탐심의 영역을 10%만큼 축소시키는 영적 경계선입니다.

1.2. 다양한 헌금: 100%의 자발적인 봉헌 (은혜의 반응)
십일조를 넘어선 헌금은 나머지 90%를 포함한 우리의 100% 재물이 여전히 하나님의 소유임을 인정하고, 그분의 뜻에 따라 기꺼이 드리는 것입니다. 이는 **'이 정도만 드리면 됐다'**는 타협을 넘어, **'나는 이 물질을 통해 주님께 더 많은 영광을 돌리고 싶다'**는 사랑의 열정을 표현합니다. 바울은 헌금을 **'영적 제사'**이자 **'성도의 봉사'**로 묘사하며(로마서 15:27), 이는 곧 우리의 삶이 예배가 되는 실천적 증거임을 강조합니다.

2. 주요 헌금의 영적 목적과 실천 원칙
다양한 헌금은 각각 고유한 영적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의 신앙 성숙에 기여합니다.

2.1. 감사 헌금 (Thanksgiving Offering): 은혜를 세는 훈련
감사 헌금은 가장 빈번하게 드려지는 자발적 헌금입니다.

목적: 인생의 특별한 사건(생일, 승진, 결혼, 회복, 기도 응답 등)뿐만 아니라, 매일의 삶 속에서 경험하는 하나님의 일반 은총에 대한 감사를 물질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영적 유익: 감사 헌금은 우리의 시선을 '결핍된 것'에서 '이미 받은 것'으로 옮겨놓아, 불평과 불만족이라는 탐심의 뿌리를 뽑아냅니다. 매번 감사 헌금을 드릴 때, 우리는 **"하나님, 저에게 이 정도까지 베풀어주셔서 감사합니다"**라는 신앙 고백을 하게 됩니다.

실천: 감사 헌금은 액수보다 **'구체성'**이 중요합니다. 헌금 봉투에 감사의 제목을 명확히 기록하며 하나님의 은혜를 기억하고 선포하는 훈련을 해야 합니다.

2.2. 선교 헌금 (Missions Offering): 지상 명령의 이행
선교 헌금은 헌금 중 가장 영원한 가치에 투자하는 행위입니다.

목적: 예수 그리스도께서 제자들에게 명령하신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라"**는 지상 명령(마태복음 28:19)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것입니다. 선교 헌금은 선교사 파송, 복음 전파 사역, 성경 번역 등 직접적인 영혼 구원 사역에 사용됩니다.

영적 유익: 선교 헌금은 우리의 시야를 **'나와 내 가족'**의 울타리를 넘어, '하나님의 나라' 전체로 확장시킵니다. 이는 돈을 통해 영원한 영혼을 얻는 일에 동참하는 특권이며, 우리의 재정이 가진 가장 강력한 목적이 됩니다.

실천: 구체적인 선교사나 선교 단체를 정기적으로 후원하며, 헌금할 때마다 그들을 위해 기도하는 것을 병행해야 합니다.

2.3. 구제 헌금 (Alms/Relief Offering): 이웃 사랑의 실천
구제 헌금은 이웃 사랑을 가장 직접적으로 실천하는 헌금입니다.

목적: 성경은 가난한 자, 과부, 고아, 나그네를 돌보는 것을 하나님의 명령으로 가르칩니다(신명기 15:11). 구제 헌금은 사회적 약자의 기본적인 필요를 채우고, 하나님의 정의와 자비를 세상에 보여주는 통로가 됩니다.

영적 유익: "가난한 자를 불쌍히 여기는 것은 여호와께 꾸어 드리는 것이니" (잠언 19:17). 구제는 우리가 가진 재물이 하나님의 손과 발로서 기능하게 합니다. 이는 탐심을 이기고, 자기희생적 사랑을 훈련하며, 세상의 고통에 무감각해지는 것을 막아줍니다.

실천: 교회 구제 기관뿐만 아니라, 개인적으로도 도움이 필요한 이웃을 파악하고 익명으로 베푸는 은밀한 나눔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4. 건축 및 목적 헌금: 다음 세대를 위한 투자
교회의 건축이나 특정 시설을 위한 헌금은 현재 세대가 다음 세대를 위해 신앙의 유산을 남기는 행위입니다.

목적: 성도들이 모여 예배하고, 교육하며, 이웃을 섬길 수 있는 물적 기반(성전)을 마련하는 것입니다. 이는 교회의 지속적인 사역을 가능하게 합니다.

영적 유익: 건축 헌금은 우리의 물질적인 희생을 통해 하나님 나라의 영속성에 기여한다는 자부심과 소속감을 줍니다.

3. 다양한 헌금의 영적 풍요로움
십일조 외의 다양한 헌금을 드리는 것은 단순히 드리는 액수를 늘리는 것을 넘어, 우리의 영적 삶에 풍요로움을 가져옵니다.

3.1. 희생적 나눔의 훈련 (Sacrificial Giving)
예수님은 모든 소유를 드린 가난한 과부의 헌금을 칭찬하셨습니다(마가복음 12:43-44). 진정한 헌금은 나의 삶에 고통을 수반하는 희생이 될 때 영적인 가치를 갖습니다. 헌금을 위해 내가 좋아하는 소비를 줄이고, 나에게 필요한 것을 잠시 포기하는 희생적 나눔은 우리가 돈보다 하나님을 더 사랑한다는 가장 확실한 증거가 됩니다.

3.2. 비례의 원칙과 은혜의 증거 (Proportional Giving)
"각각 그 마음에 정한 대로 할 것이요" (고린도후서 9:7). 다양한 헌금은 일률적인 비율이 아닌, 하나님께서 나에게 주신 은혜와 축복에 비례하여 드려져야 합니다. 수입이 많아지면, 십일조 외의 헌금 비율도 증가하는 것이 마땅합니다. 이는 받은 은혜가 클수록 흘려보내야 할 책임과 특권도 커짐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3.3. 즐거운 드림의 미학 (Cheerful Giving)
"하나님은 즐겨 내는 자를 사랑하시느니라" (고린도후서 9:7). 다양한 헌금은 기쁨으로 드려야 합니다. 이 기쁨은 돈을 내어 물질이 줄어드는 것에 대한 슬픔을 넘어, 이 물질이 하나님의 손에 들려 영원한 가치를 창출한다는 영적 확신에서 비롯됩니다. 즐거운 마음으로 드리는 헌금은 그 자체로 하나님께 향하는 아름다운 향기입니다.

3.4. 씨앗 심기의 확신 (Seed Sowing)
바울은 헌금을 **'씨앗을 심는 행위'**에 비유했습니다. "적게 심는 자는 적게 거두고 많이 심는 자는 많이 거둔다" (고린도후서 9:6). 헌금은 소비가 아니라, 영원한 결실을 위한 투자입니다. 이 확신은 우리의 재정을 계산적으로 움켜쥐지 않고, 믿음으로 풀어놓아 하나님의 풍성한 은혜를 경험하게 하는 통로가 됩니다.

4. 다양한 헌금의 실천적 적용 (Practical Application)
다양한 헌금을 영적으로 건강하게 실천하기 위해서는 의도적인 계획과 훈련이 필요합니다.

4.1. 헌금 예산의 세분화
총 헌금 비율(예: 십일조 10% + 감사/선교/구제 5%)을 정하고, 매달 수입이 발생할 때 이 전체 비율을 십일조와 함께 가장 먼저 떼어 분류합니다. 이를 통해 헌금이 충동적 지출이 아닌, 계획된 봉헌이 되게 합니다.

4.2. 재정적 우선순위의 확립
"먼저 하나님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라" (마태복음 6:33). 십일조와 다양한 헌금을 먼저 드리고 남은 80~90%의 재정으로 생활할 때, 우리는 나머지 재정을 더욱 지혜롭게 관리하게 됩니다. 헌금은 절제와 검소함을 훈련시키는 강력한 도구가 됩니다.

4.3. 자녀와의 나눔 교육
자녀들에게 용돈에서 십일조뿐만 아니라, 선교 헌금과 구제 헌금을 떼어 드리는 과정을 가르쳐야 합니다. 이 훈련은 자녀들에게 어릴 때부터 재물의 목적이 나 자신을 위한 소비가 아닌, 하나님의 나라와 이웃을 위한 나눔에 있음을 각인시켜 줍니다.

4.4. 매년 나눔 목표 설정 (Giving Goals)
매년 말 재정 계획을 세울 때, 다음 해의 총 수입 목표와 함께 헌금 총액 및 각 헌금 항목별 비율 목표를 설정합니다. 이는 헌금을 단순한 의무가 아닌, 적극적인 사역 목표로 승화시킵니다.

결론: 물질을 다스리는 축복의 통로
십일조 외에도 감사 헌금, 선교 헌금 등 다양한 헌금을 드리는 것은 우리가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는 범위를 우리의 삶 전체로 확장시키는 행위입니다. 이 자발적이고 다양한 봉헌을 통해 우리는 물질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 돈의 노예가 아닌 주인으로서의 권위를 회복하게 됩니다. 다양한 헌금은 우리의 재물을 이 땅의 유한한 것에 묶어두지 않고, 영원한 가치를 창출하는 데 사용함으로써, 우리에게 참된 기쁨과 영적 풍요, 그리고 하나님과의 깊은 동행이라는 가장 큰 축복을 선사하는 통로입니다.

강의 읽음 등록
mainlogo.png

SWIM 세계인터넷선교협의회는 (KWMA소속단체) 1996년 창립한 선교단체로, 인터넷과 IT를 활용하여 30여 년간 세계선교에 기여해 왔습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