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신학 난제 해설

사무엘하와 역대상에 기록된 다윗의 인구 조사 수치가 서로 다르게 나타납니다.

사무엘하와 역대상에 기록된 다윗의 인구 조사 수치가 서로 다르게 나타납니다.

사무엘하와 역대상에 기록된 다윗의 인구 조사 수치가 서로 다르게 나타납니다.


본론: 다윗의 인구 조사, 수치의 차이와 해석
사무엘하 24장과 역대상 21장에 기록된 다윗의 인구 조사 수치는 분명히 다르게 나타납니다. 사무엘하는 이스라엘 군대가 80만, 유다 군대가 50만이라고 기록하는 반면, 역대상은 이스라엘 군대가 110만, 유다 군대가 47만이라고 기록합니다. 이러한 수치의 차이는 성경의 오류가 아니며, 고대 역사 기록 방식의 특성과 저자의 신학적 목적을 통해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기록 방식의 차이: 중복 계산의 가능성
고대 이스라엘의 인구 조사 방식은 현대의 엄격한 통계와 달랐습니다. 병사들을 중심으로 인구 조사를 진행할 때, 지역이나 부족에 따라 중복으로 계산되거나 특정 집단이 제외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군대의 구성: 고대 군대는 정규군 외에 여러 가지 보조 부대로 구성되었습니다. 역대상의 110만이라는 수치는 이스라엘의 정규군뿐만 아니라, 행정직에 종사하거나 군대에 편입될 수 있는 모든 남성을 포함한 수치일 수 있습니다. 반면 사무엘하의 80만은 전투 병력만을 센 수치일 수 있습니다.

유다 군대의 차이: 유다 군대의 수치가 사무엘하(50만)와 역대상(47만)에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특정 부대나 지역이 계산에 포함되거나 제외되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예루살렘과 주변 성읍의 군대가 포함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수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저자의 실수라기보다는, 두 저자가 다른 자료를 사용했거나, 동일한 자료를 다른 기준으로 집계했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2. 저자의 신학적 목적: 메시지 전달의 차이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두 저자의 신학적 목적이 달랐다는 점입니다. 성경 저자들은 현대의 역사가들처럼 사실을 있는 그대로 '사진 찍듯'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신학적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자료를 선택하고 배열했습니다.

사무엘하의 목적: 사무엘하는 다윗의 인구 조사가 하나님의 명령에 대한 불순종과 교만의 결과임을 강조합니다. 다윗은 자신의 군사력에 의존함으로써 하나님의 주권을 의심했고, 이로 인해 하나님으로부터 징벌을 받게 됩니다. 사무엘하 저자는 다윗의 죄악과 그로 인한 심각한 결과를 부각하기 위해 인구 조사 수치를 제시했습니다.

역대상의 목적: 역대상은 다윗과 이스라엘 왕국의 위대함을 부각하고, 이스라엘의 정체성을 재확립하려는 목적으로 기록되었습니다. 역대상의 저자는 다윗이 성전 건축을 준비하는 데 초점을 맞추며, 인구 조사 수치를 통해 다윗의 왕국이 얼마나 거대하고 강력했는지, 그리고 하나님의 축복을 받았는지 보여주려 했습니다. 역대상은 다윗의 죄와 심판보다는 회개와 성전 건축 준비에 더 많은 지면을 할애합니다.

3. 결론: 상호 보완적인 기록
사무엘하와 역대상에 기록된 수치의 차이는 성경의 오류가 아니라, 각각의 저자가 다윗의 인구 조사라는 동일한 사건을 다른 관점과 목적으로 기록했기 때문에 발생했습니다.

사무엘하: '왜' 다윗이 인구 조사를 했고, 그 결과 '어떤' 심판이 있었는지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인간의 교만과 하나님의 공의를 강조합니다.

역대상: 다윗의 인구 조사가 '얼마나' 거대했으며, 그 후 '어떻게' 성전 건축이 시작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하나님의 축복과 이스라엘 공동체의 위대함을 강조합니다.

이 두 기록은 서로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윗의 인구 조사라는 복합적인 사건을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하여 더 풍부한 이해를 돕는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합니다.

강의 읽음 등록
mainlogo.png

SWIM 세계인터넷선교협의회는 (KWMA소속단체) 1996년 창립한 선교단체로, 인터넷과 IT를 활용하여 30여 년간 세계선교에 기여해 왔습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