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선교 실전 전략 104 

파송 교회의 역할과 책임: 기도, 재정, 행정 지원의 중요성

파송 교회의 역할과 책임: 기도, 재정, 행정 지원의 중요성

파송 교회의 역할과 책임: 기도, 재정, 행정 지원의 중요성 ⛪
파송 교회(Sending Church)는 선교사를 하나님의 대리자로서 선교 현장으로 보내는 주체이자, 선교 사역의 영적, 재정적, 정서적 안정성을 책임지는 가장 중요한 파트너입니다. 파송 교회의 역할은 단순히 선교사를 '보내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현장에서 사역하는 동안 지속적인 후방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사역의 열매를 함께 나누는 데 있습니다.

1. 영적 책임: 기도와 영적 감독의 지원 🙏
파송 교회의 가장 근본적인 역할은 선교사와 사역을 위한 영적 울타리를 세우는 것입니다.

지속적인 중보 기도: 선교 현장은 영적 전쟁터이므로, 파송 교회는 선교사 개인, 가족, 사역을 위한 조직적이고 끊임없는 중보 기도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합니다. 구체적인 기도 제목을 정기적으로 공유받아 기도회가 활성화되도록 해야 합니다.

영적 감독(Accountability): 선교사가 영적, 도덕적으로 타락하지 않도록 정기적인 보고와 영적 멘토링을 제공해야 합니다. 이는 선교사가 외로움과 압박 속에서 고립되지 않고, 권위 아래에서 보호받도록 돕는 핵심 역할입니다.

안식년 및 회복 지원: 안식년 기간 동안 선교사가 완전히 재충전하고 영성을 회복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프로그램과 환경을 제공해야 합니다.

2. 재정적 책임: 안정적이고 투명한 지원 💰
선교사의 재정적 안정은 사역 집중도를 높이는 기반입니다. 파송 교회는 재정 지원의 주춧돌 역할을 해야 합니다.

주요 재정 기반 제공: 파송 교회는 선교사에게 필요한 **총 재정의 일정 비율(예: 최소 30~50% 이상)**을 직접 책임지고 지원함으로써, 선교사가 후원 동원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사역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합니다.

재정 관리의 투명성: 선교사가 보고하는 재정 내역을 투명하게 관리하고, 교회 내 후원자들에게 정기적으로 보고하는 행정적 책임을 담당해야 합니다. 이는 선교사와 교회 모두의 신뢰성을 높입니다.

위기 시 특별 지원: 예기치 않은 의료비 지출, 긴급 철수 등 특별한 재정 위기가 발생했을 때, 파송 교회는 가장 먼저 신속하고 충분한 특별 지원을 제공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3. 행정 및 실무 책임: 사역의 지속성 확보 📝
파송 교회는 선교 단체와 협력하여 선교사의 행정 업무 부담을 덜어주고, 현장과의 연결고리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행정 및 물류 지원: 선교사가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물품 발송, 우편물 관리, 긴급 서류 처리 등 실무적인 행정 지원을 제공합니다.

정보 교환 및 중계: 선교 현장과 후원 동역자들 사이에 정확하고 시의적절한 정보를 중계하는 허브 역할을 합니다. 선교사의 비전과 사역을 교회와 후원자들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합니다.

멤버 케어 지원: 안식년 기간 동안의 재교육 기회 제공, 자녀(TCK)의 교육 및 정착 지원, 건강 보험 및 연금 관련 행정 업무 자문 등 선교사 가족의 삶 전반에 걸친 실질적인 케어를 제공해야 합니다.

재적응(Re-entry) 지원: 안식년이나 영구 귀국 시, 선교사 가족이 본국 사회와 교회에 재적응할 수 있도록 정서적, 교육적, 때로는 주거 및 취업 관련 지원까지 계획적으로 제공해야 합니다.

결론
파송 교회의 역할은 선교사를 파송하는 단 한 번의 이벤트로 완성되지 않습니다. 현장 사역 기간 내내 기도의 돛을 달아주고, 재정의 엔진을 공급하며, 행정의 항로를 관리하는 지속적인 동역을 통해 선교 사역의 열매를 함께 누리는 공동체가 되어야 합니다. 선교사는 교회의 품을 떠났지만, 교회의 지경은 선교 현장으로 확장된 것입니다.

강의 읽음 등로
mainlogo.png

SWIM 세계인터넷선교협의회는 (KWMA소속단체) 1996년 창립한 선교단체로, 인터넷과 IT를 활용하여 30여 년간 세계선교에 기여해 왔습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