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교 실전 전략 104
문화란 무엇인가?: 문화의 정의, 속성, 기능에 대한 인류학적 이해

문화란 무엇인가?: 문화의 정의, 속성, 기능에 대한 인류학적 이해
문화는 인간 사회를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개념으로, 인류학의 가장 기본적인 연구 주제입니다. 인류학적 관점에서 문화는 단순히 예술이나 고급 취향을 넘어, 한 집단의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따르는 삶의 총체적인 방식을 의미합니다.
1. 문화의 인류학적 정의
문화에 대한 가장 널리 인용되는 고전적인 정의는 영국의 인류학자 **에드워드 B. 타일러(Edward B. Tylor)**가 제시했습니다.
포괄적인 총체: 타일러는 문화를 "지식, 신앙, 예술, 도덕, 법률, 관습 그리고 사회 구성원으로서 인간에 의해 획득된 다른 모든 능력과 습관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총체"라고 정의했습니다.
학습된 행동: 현대 인류학에서는 문화를 특정 사회의 구성원들이 학습하고 공유하는 생각, 행동, 물질적 창조물의 체계로 봅니다. 이는 인간의 생물학적 유전(본능)이 아닌, 사회화를 통해 후천적으로 전수되는 모든 것을 포함합니다.
즉, 문화는 사람들이 **무엇을 믿고(신념), 어떻게 행동하며(관습), 무엇을 만들고 사용하는지(기술)**를 결정하는, 한 집단의 **공유된 설계도(Shared blueprint for living)**와 같습니다.
2. 문화의 주요 속성
문화는 특정 사회의 특징을 나타내는 동시에, 모든 문화가 공유하는 보편적인 속성을 가집니다.
(1) 학습성 (Learned)
문화는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나오는 것이 아니라, 배우고 습득됩니다.
사회화(Socialization): 개인이 속한 집단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언어, 예절, 가치관 등을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습득하는 과정입니다. 이는 세대를 걸쳐 다음 세대로 전승됩니다 (문화 전승).
(2) 공유성 (Shared)
문화는 개인적인 습관이 아니라, 집단 구성원 대다수가 공유하고 이해하는 것입니다.
상호작용의 기반: 공유된 문화 덕분에 사람들은 서로의 행동을 예측하고 의미를 이해하며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악수나 절 같은 인사 방식은 그 사회 구성원 모두가 공유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3) 상징성 (Symbolic)
문화는 **상징(Symbol)**을 통해 존재하고 표현됩니다.
의미 부여: 인간은 언어, 예술, 의례 등 다양한 상징을 사용하여 의미를 부여하고 소통합니다. 상징은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집단 구성원들이 합의한 의미를 가집니다 (예: 국기, 십자가, 특정 색깔).
(4) 통합성 (Integrated)
문화는 여러 요소(경제, 종교, 정치, 가족 제도 등)들이 서로 연결되어 영향을 주고받는 하나의 통합된 체계입니다.
총체론적 접근: 인류학은 특정 문화 현상을 이해할 때, 그 현상이 문화의 다른 부분(예: 기술 변화가 가족 제도에 미치는 영향)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총체적으로 접근합니다. 한 부분의 변화는 전체에 영향을 미칩니다.
(5) 동태성/변동성 (Dynamic)
문화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합니다.
내부적 요인: 발명이나 혁신 같은 문화 내부의 요인에 의해 변화합니다.
외부적 요인: 다른 문화와의 접촉(전파), 환경 변화 등에 의해 변화합니다 (문화 변동).
3. 문화의 주요 기능
문화는 인간 사회가 생존하고 유지되는 데 필수적인 여러 기능을 수행합니다.
(1) 적응 기능 (Adaptation)
문화는 인간이 자연환경에 적응하고 생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생존 도구: 의복, 주거 형태, 농경 기술 등은 인간이 특정 기후나 환경에 맞게 생존 방식을 개발하고 발전시켜 온 문화적 결과물입니다.
(2) 행동 규제 기능 (Behavior Regulation)
문화는 사회 구성원의 행동에 대한 지침과 규범을 제공하여 사회 질서를 유지합니다.
예측 가능성: 법률, 도덕, 관습 등은 무엇이 옳고 그른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제공하며, 구성원 간의 예측 가능한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3) 정체성 부여 기능 (Identity & Meaning)
문화는 집단 구성원들에게 소속감과 정체성을 부여하고 삶의 의미를 찾게 해줍니다.
공동체 의식: 공유된 가치관, 역사, 상징 등은 사람들이 '우리'라는 공동체 의식을 갖게 합니다.
세계관 제공: 종교나 신화 등은 삶의 기원, 목적, 죽음 이후의 문제 등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해답(세계관)을 제시하여 삶에 의미를 부여합니다.
(4) 욕구 충족 기능 (Need Fulfillment)
문화는 인간의 생물학적 및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생물학적 욕구: 식량 확보, 성(性) 통제(결혼 제도) 등.
사회적 욕구: 교육, 예술, 놀이 등을 통한 정서적 만족과 지적 교류 등.
결론적으로, 인류학적 관점에서 문화는 한 집단의 삶을 총체적으로 구성하는 학습되고 공유되며 상징적인 행동의 체계이며, 인간 사회의 생존과 유지를 위한 핵심적인 적응 기제입니다. 선교사는 이러한 문화의 속성과 기능을 깊이 이해할 때, 복음을 그 문화의 맥락에 맞게 지혜롭게 전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