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선교사 심리적 상황

현지인 리더와의 갈등: 문화적 차이, 리더십 스타일 차이로 인한 갈등

현지인 리더와의 갈등은 사역의 성공을 위해 가장 긴밀하게 협력해야 할 파트너와 겪는 문제이기에 더욱 고통스러운 스트레스입니다. 이는 단순한 개인 간의 성격 차이를 넘어, 서로의 마음에 깊이 각인된 '문화적 문법'과 '리더십에 대한 근본적인 관점'이 충돌하며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이 갈등은 주로 리더십 스타일의 차이와 문화적 가치관의 충돌이라는 두 가지 축에서 발생합니다.

1. 리더십 스타일의 충돌: '일'이 먼저인가, '사람'이 먼저인가
갈등의 가장 큰 원인은 '과업 중심 리더십'과 '관계 중심 리더십'의 차이에서 비롯됩니다.

과업 중심 리더십 (Task-Oriented Leadership)
많은 서구 문화권에서 온 선교사들은 효율성, 명확한 목표 설정, 합리적인 계획, 그리고 신속한 결과 도출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특징: 회의록 작성, 업무 분담 명확화, 정해진 시간 내에 목표 달성 강조.

현지 리더에게 비치는 모습: 인간적인 교감이나 과정보다 결과만 중시하는 차가운 사람, 관계를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지시하는 권위적인 사람으로 비춰질 수 있습니다.

관계 중심 리더십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많은 비서구 문화권의 현지 리더들은 공동체의 조화, 구성원 간의 유대감 형성, 그리고 상호 신뢰 구축을 리더십의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여깁니다.

특징: 공식적인 회의보다 식사나 차를 마시며 비공식적으로 소통, 결정을 내리기 전 공동체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

선교사에게 비치는 모습: 업무 진행이 느리고 비효율적인 사람, 공과 사를 구분하지 못하고 사적인 감정이나 관계(연고)에 따라 일을 처리하는 비합리적인 사람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일을 성공시켜야 관계가 좋아진다"고 믿는 사람과 "관계가 좋아야 일이 성공한다"고 믿는 사람 사이의 간극은 끊임없는 마찰을 유발합니다.

2. 갈등의 문화적 뿌리: 보이지 않는 가치관의 충돌
리더십 스타일의 차이는 더 깊은 문화적 가치관의 차이에서 비롯됩니다.

의사소통 방식의 차이 (직설화법 vs. 간접화법)
선교사는 문제를 명확히 지적하고 해결책을 직접적으로 제시하는 것을 '정직하고 효율적인 소통'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지 리더에게 이는 공개적인 망신을 주어 체면을 깎는 무례한 행동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습니다. 현지 리더는 반대 의사를 직접 표현하기보다 침묵하거나 우회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데, 선교사는 이를 '동의'나 '무관심'으로 오해하기 쉽습니다.

재정 및 자원 사용에 대한 관점 차이
후원금에 대한 투명한 회계 보고가 중요한 선교사는 재정을 '사역 프로젝트'를 위한 공적인 자원으로 인식합니다. 반면, 공동체 중심 문화의 현지 리더는 어려운 친척이나 이웃을 돕는 것을 더 중요한 가치로 여겨, 사역 재정을 개인적인 필요에 사용하는 것에 대해 죄책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는 선교사에게 '횡령'이나 '부정'으로 비춰져 신뢰 관계를 근본적으로 파괴하는 원인이 됩니다.

문제 해결 방식의 차이
선교사는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고 시스템을 개선하여 '원칙'에 따라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현지 리더는 공동체의 조화와 관계의 회복을 우선시하여, 원칙을 다소 어기더라도 관련된 모든 사람이 만족할 만한 '상황적'이고 '관계적인' 해결책을 찾으려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갈등은 사역의 동력을 떨어뜨리고, 상호 간에 "저 사람은 말이 통하지 않아" 혹은 "우리를 무시한다"는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형성하게 만듭니다.

갈등 해결의 첫걸음은 나의 리더십 스타일과 가치관이 유일한 정답이 아님을 인정하는 겸손함에서 시작됩니다. 현지 리더를 '가르치고 변화시켜야 할 대상'이 아닌, 내가 먼저 배우고 이해해야 할 '문화의 스승'으로 존중할 때, 비로소 갈등을 넘어 진정한 동역의 관계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강의 읽음 등록
mainlogo.png

SWIM 세계인터넷선교협의회는 (KWMA소속단체) 1996년 창립한 선교단체로, 인터넷과 IT를 활용하여 30여 년간 세계선교에 기여해 왔습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