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신도 조직 신학 210개 과목
160. 성경의 권위를 부정하는 주장에 어떻게 대응할까요?

160. 성경의 권위를 부정하는
주장에 어떻게 대응할까요?
성경의 권위를 부정하는 주장에 대응할 때는 먼저 성경이 하나님의 감동으로 기록된 신성한 계시임을 근거로 삼아야 합니다. 디모데후서 3장 16절에서“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이다”라는 말씀처럼, 성경은 단순히 인간의 산물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자신의 뜻을 전달하기 위해 성령의 인도하심 아래 기록하신 말씀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이러한 신학적 전제는 성경의 권위가 왜 타당한지에 대한 기본적인 논거가 됩니다.
또한, 성경의 권위를 부정하는 주장에 대해서는 역사적·문서학적 연구와 고고학적 발견들을 통해 성경이 오랜 세월 동안 전승되어 온 진실성과 신뢰성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수천 년 전에 기록된 문헌들이 여러 사본과 비교 연구를 통해 놀랄 만큼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인간의 실수나 왜곡 없이 하나님의 계시가 보존되어 왔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성경이 단순한 인간의 의견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을 담은 영원한 진리임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증거입니다.
더 나아가, 성경이 담고 있는 예언과 역사적 사건들의 성취 역시 그 권위를 입증하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예언들이 실제 역사 속에서 구체적으로 성취되었음을 통해, 성경이 미래에 대한 단순한 상상이 아니라 하나님의 신실하신 계획과 섭리가 역사 속에서 구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점은 성경의 메시지가 인간의 주관적인 해석을 넘어서 객관적인 역사적 증거에 기반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성경의 권위를 부정하는 주장에 대응할 때에는 겸손과 사랑의 자세로 대화에 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앙의 문제는 단순히 지식의 차이를 넘어, 삶 전체를 아우르는 영적 체험과 변화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상대방의 질문이나 의문에 대해 성경 본문과 기도, 그리고 성령의 인도하심을 바탕으로 대화를 나누며, 서로의 관점을 존중하는 가운데 진리를 함께 모색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이처럼, 성경의 권위를 부정하는 주장에 대응할 때는 하나님의 감동으로 기록된 신성한 계시, 역사적·문서학적 증거, 예언의 성취, 그리고 사랑과 겸손을 바탕으로 한 대화가 중요한 원칙이 됩니다. 이러한 접근은 신자들이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확신을 굳건히 하고, 동시에 다른 이들과의 대화를 통해 진리의 깊이를 나누어갈 수 있도록 돕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