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독교 재정 원칙

헌금은 금액이 아닌, 마음의 중심을 보시는 주님께 드리는 예배입니다. (마가복음 12:41-44)

헌금은 금액이 아닌, 마음의 중심을 보시는 주님께 드리는 예배입니다 (마가복음 12:41-44)
마가복음 12장 41-44절에 기록된 가난한 과부의 헌금 이야기는 기독교인의 헌금 원칙에서 가장 심오한 진리를 담고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성전 헌금함 맞은편에 앉아 사람들이 헌금하는 것을 보실 때, 많은 부자들은 많은 돈을 넣었으나, 한 가난한 과부는 두 렙돈 곧 한 고드란트(가장 작은 동전)를 넣었습니다. 예수님은 제자들을 불러 그 과부가 다른 모든 사람들보다 더 많이 넣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이 비유는 헌금이 액수가 아닌 마음의 중심을 보시는 주님께 드리는 예배 행위임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1. 헌금의 가치 기준: '많이'가 아닌 '전부'
예수님께서 과부의 헌금을 가장 가치 있게 여기신 이유는 그 액수가 아니라, 그녀가 드린 비율과 동기에 있었습니다.

비율의 희생: 부자들은 많은 금액을 드렸지만, 그것은 그들의 풍족한 재산에서 남는 부분이었습니다. 그러나 과부는 **"그가 가진 것, 곧 생활비 전부를 넣었느니라"**고 예수님은 말씀하셨습니다. 과부의 헌금은 그녀의 삶에 고통을 수반하는 희생이었으며, 이는 그녀가 오직 하나님만을 전적으로 신뢰한다는 증거였습니다.

신뢰의 고백: 과부는 두 렙돈이 없으면 당장 오늘 저녁 먹을 것이 없을 수도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녀의 헌금은 '이것을 드려도 하나님이 나의 필요를 채워주실 것이다'라는 절대적인 신뢰의 고백이었습니다. 그녀는 재물보다 하나님을 더 크게 여겼습니다.

2. 헌금은 '예배' 행위입니다
헌금을 단지 교회의 재정을 돕는 행위로만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헌금은 다음과 같은 의미에서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입니다.

하나님께 드리는 찬양: 우리가 가진 모든 것이 하나님의 은혜로 주어졌음을 감사하며 드리는 행위입니다. 헌금 봉투를 드리는 것은 찬양과 경배의 가장 실질적인 표현입니다.

주권 인정의 제사: 헌금은 우리의 재정에 대한 소유권을 포기하고, 하나님을 우리의 유일한 재정의 주인으로 인정하는 영적 제사입니다. 이 고백을 통해 우리는 돈의 노예가 아닌, 하나님의 청지기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합니다.

마음의 중심을 점검하는 거울: 헌금은 우리의 마음이 물질에 묶여 있는지, 아니면 하나님께 자유롭게 향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거울과 같습니다. 인색함이나 억지로 드리는 마음은 우리의 영적 상태가 경건하지 않음을 드러냅니다.

3. 실천적 적용: 마음을 드리는 헌금
우리가 과부처럼 모든 것을 드릴 수는 없을지라도, 과부의 정신으로 헌금할 수는 있습니다.

계획된 헌금: 헌금을 지출 후 '남은 것'으로 드리는 것이 아니라, 수입에서 가장 먼저 기도와 결단으로 액수를 정해 구별하여 드려야 합니다.

자원하는 기쁨: **"하나님은 즐겨 내는 자를 사랑하시느니라" (고린도후서 9:7)**는 말씀처럼, 헌금은 기쁨과 자원하는 마음으로 드려야 합니다. 이는 금액의 크기와 상관없이 하나님께서 가장 중요하게 보시는 부분입니다.

결론적으로, 이 과부의 이야기는 우리에게 헌금의 진정한 가치는 액수에 있지 않고, 하나님을 향한 전적인 신뢰와 희생적인 사랑이 담긴 마음의 중심에 있다는 것을 가르쳐줍니다. 우리의 헌금이 매번 주님을 향한 진실한 예배가 되도록 마음을 다해야 합니다.

강의 읽음 등록
mainlogo.png

SWIM 세계인터넷선교협의회는 (KWMA소속단체) 1996년 창립한 선교단체로, 인터넷과 IT를 활용하여 30여 년간 세계선교에 기여해 왔습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