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독교 재정 원칙

계획을 세울 때 하나님 나라를 위한 헌신과 나눔의 목표를 포함합니다.

계획을 세울 때 하나님 나라를 위한 헌신과 나눔의 목표를 포함합니다
서론: 왕의 자원을 왕의 목적에 따라 관리합니다
기독교인의 재정 계획에서 하나님 나라를 위한 헌신과 나눔의 목표를 포함하는 것은 청지기 의식의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입니다. 예수님께서는 **"먼저 그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라 그리하면 이 모든 것을 너희에게 더하시리라" (마태복음 6:33)**고 명령하셨습니다. 재정 계획은 우리가 소유한 모든 것이 하나님의 것이며, 우리의 돈이 세상적인 욕심이 아닌 하나님 나라의 확장이라는 왕의 목적을 위해 사용되도록 설계하는 과정입니다. 헌신과 나눔은 계획의 마지막 항목이 아니라, 계획의 시작과 중심이 되어야 합니다.

1. 나눔과 헌신의 성경적 우선순위
재정 계획을 세울 때 나눔은 지출 목록이 아닌, 수입이 들어올 때 가장 먼저 떼어놓는 첫 열매(First Fruits)의 항목이 되어야 합니다.

2. 재정 목표에 나눔을 구체적으로 포함하는 방법
헌신과 나눔은 막연한 '좋은 의도'가 아닌, 달성 가능하고 측정 가능한 목표로 설정되어야 합니다.

2.1. 헌금 목표를 세분화합니다.

십일조 (Tithe): 수입의 10%를 기초로 확고한 예산 항목으로 설정합니다.

구제 헌금 (Alms/Mercy): 십일조 외에 어려운 이웃을 돕기 위한 별도의 목표 금액이나 비율(예: 수입의 2~5%)을 정해 예산에 반영합니다. 이는 우리의 이웃 사랑 실천을 구체화합니다.

선교 및 특별 헌금: 단기 선교 후원, 교회 건축 또는 특별한 사역을 위한 장기 저축 목표를 세워 중기 재정 목표에 포함합니다.

2.2. '부채 청산'을 헌신을 위한 중기 목표로 설정합니다.
빚을 갚는 것은 단순히 개인의 재정을 위한 것이 아니라, 빚의 종 상태에서 벗어나 더 큰 나눔과 헌신을 할 수 있는 **자유(Flexibility)**를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향후 3년 내 모든 소비자 부채를 청산하여, 그 금액(월 상환액)을 선교 후원에 돌린다"와 같이 목적을 설정합니다.

2.3. '재정적 자유'를 헌신적 유연성 확보 목표로 설정합니다.
장기 재정 목표인 은퇴 준비와 재정적 자유는 개인적인 안락을 넘어, 시간과 자원을 하나님께 전적으로 헌신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함입니다. "노동 소득 없이 생활 가능한 자산 확보 후, 남은 인생을 선교와 봉사에 전적으로 헌신한다"와 같이 목표의 궁극적인 목적을 재규정해야 합니다.

3. 유산(Legacy) 계획을 통한 영원한 헌신
가장 장기적인 관점에서, 우리의 유산을 하나님 나라를 위해 사용하는 계획을 세웁니다.

3.1. 영원한 나눔의 유산 계획:
사망 후 남겨질 자산 중 일부를 가족 외에 교회, 구제 단체, 또는 선교 기관에 기부하도록 유언장 또는 신탁을 통해 명시하는 목표를 세웁니다. 이는 재물을 이 땅에만 쌓아두지 않고 영원한 보물로 바꾸는 지혜로운 청지기의 마지막 계획입니다.

3.2. 사역 자산 마련 계획:
교회나 사역 단체에 필요한 특정 자산(예: 건물, 장비 등) 마련을 위한 별도의 장기 저축 및 투자 목표를 설정합니다. 이는 개인의 축복을 공동체의 축복으로 확장하는 헌신적 행위입니다.

헌신과 나눔의 목표가 포함된 재정 계획은 우리의 삶을 물질의 노예가 아닌 사랑과 감사를 실천하는 통로로 만들며, 재정적 축복이 결국 하나님의 영광으로 귀결되도록 이끌어 줄 것입니다.

강의 읽음 등록
mainlogo.png

SWIM 세계인터넷선교협의회는 (KWMA소속단체) 1996년 창립한 선교단체로, 인터넷과 IT를 활용하여 30여 년간 세계선교에 기여해 왔습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