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Номлогчийн үндсэн сургалтын онлайн лекцүүдийн жагсаалт

사도행전: 성령과 함께 확장되는 교회

예루살렘에서 유대와 사마리아, 땅끝으로 확장되는 선교의 실제는 사도행전의 구조적 청사진이자, **성령의 권능(δ 
ν
ˊ
 ναμις)**을 통해 복음의 보편성이 지리적·인종적·문화적 경계를 점진적으로 돌파해 나가는 **선교의 역사적 과정(Historical Process of Mission)**입니다. 이 확장은 단순한 공간적 이동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께서 주신 **대위임령(마 28:18-20)**과 사도행전 1장 8절의 명령을 성령이 주도적으로 실행하는 **구속사적 경륜(Redemptive-Historical Economy)**의 실체입니다. 이 과정은 교회의 정체성이 배타성이 아닌 포용성에 있음을 세상에 증명하는 선교적 증거였습니다.

1부: 내부 증언의 완성: 예루살렘과 유대로의 확장과 박해의 역설 (The Completion of Internal Witness: Expansion to Jerusalem and Judea and the Paradox of Persecution)
1.1. 예루살렘: 복음의 발원지와 공동체의 공적 탄생
예루살렘은 선교의 지리적 발원지이자, 유대인들을 향한 복음 선포의 가장 중요한 장소였습니다. 성령 강림 직후 교회( 
ϵ
ˊ
 κκλησ 
ι
ˊ
 α)가 탄생하고 복음이 가장 먼저 뿌리내린 곳입니다.

1.1.1. 케리그마(Kerygma)의 집중과 공동체의 응집력
예루살렘 초기 교회는 성령의 권능에 힘입어 사도 베드로의 설교와 이적과 표적을 통해 급격한 양적 성장을 이루었습니다(행 2:41). 이 시기의 선교는 지리적으로는 예루살렘 성읍에 집중되었고, 인종적으로는 유대인과 헬라파 유대인을 대상으로 했습니다.

증언의 내용: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이라는 **객관적인 사실(Factum)**을 선포하는 케리그마가 핵심 증언이었습니다.

공동체적 응집: 초대 교회는 성령 안에서의 교제(Koinonia), 말씀에 대한 헌신, 그리고 **사랑의 실천(Diakonia)**을 통해 내부적인 응집력을 강화했으며, 이 신앙 공동체의 아름다운 모습 자체가 가장 강력한 증인된 삶이었습니다(행 2:42-47).

1.1.2. 유대로의 확장: 박해의 역설과 흩어짐의 사명
복음이 예루살렘을 넘어 유대 전 지역으로 확장된 결정적인 계기는 **외부로부터의 박해(Persecution)**였습니다. 스데반의 순교와 이에 뒤따른 사울(바울)의 강력한 핍박은 하나님의 주권적인 섭리(Sovereign Providence) 하에서 선교를 강제적으로 확장시키는 역설적인 수단이 되었습니다(행 8:1).

사도행전 8:1:"...그 날에 예루살렘에 있는 교회에 큰 박해가 있어 사도 외에는 다 유대와 사마리아 모든 땅으로 흩어지니라"
흩어짐의 신학(Theology of Dispersion): 제자들은 박해를 피해 '흩어지면서' 자동적으로 복음을 전파하는 선교의 주체가 되었습니다. 핍박은 교회의 자발적인 의지를 넘어 선교의 지리적 경계를 유대 지역 전체로 넓히는 성령의 주도적인 방법이었으며, 이는 **'흩어지라'**는 숨겨진 명령이 역사적으로 실현된 것이었습니다.

2부: 인종적 장벽의 돌파: 사마리아 선교와 화해의 실현 (The Breakthrough of the Ethnic Barrier: Samaritan Mission and the Realization of Reconciliation)
2.1. 사마리아: 인종적 편견과 복음의 시험대
**사마리아(Σαμ 
α
ˊ
 ρϵια)**는 복음이 직면해야 할 첫 번째 인종적·문화적 장벽이었습니다. 유대인들은 사마리아인들을 이방인보다 더 경멸하며 혼혈인으로 취급했고, 지리적 통행조차 꺼렸습니다. 사마리아 선교는 예루살렘 유대인 교회가 그리스도의 포용적 복음을 진정으로 수용했는지를 시험하는 결정적인 분수령이었습니다.

2.1.1. 빌립의 사역: 성령의 주도적 사용
흩어진 자들 중 한 명인 **빌립(집사)**은 사마리아 성에 내려가 그리스도를 전파했습니다(행 8:5). 이는 사도의 권위가 아닌 성령의 권능을 받은 일반 신자의 사역으로 인종적 경계를 넘은 최초의 선교적 돌파였습니다.

능력과 증언: 빌립의 치유와 귀신 축출 사역은 사마리아인들에게 복음이 유대인의 종교가 아닌 하나님 나라의 능력임을 가시적으로 확증하는 총체적인 증언이었습니다. 성령의 권능은 인간의 증오심보다 더 강력한 힘으로 화해를 이루어냈습니다.

2.2. 예루살렘의 공식 인정: 공동체적 화해의 완성
사마리아인들이 복음을 받아들였다는 소식에 예루살렘 교회가 베드로와 요한을 파송한 것은 매우 중대한 신학적 의미를 가집니다(행 8:14-17).

2.2.1. 사도의 파송: 연합과 확인
베드로와 요한의 파송은 사마리아 선교가 정통 복음에 의한 것이며, 사마리아인들이 차별 없이 그리스도의 몸에 완전히 편입되었음을 공식적으로 확인하는 교회 연합의 상징적 행위였습니다.

성령의 임재를 통한 통합: 베드로와 요한이 안수했을 때 성령이 사마리아 신자들에게 임함으로써, 유대인과 사마리아인 사이에 영적 차별이 전혀 없음이 하나님에 의해 확증되었습니다. 이로써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로 **둘(유대인과 이방인)**을 하나로 만드신 화해의 사역이 가장 첨예한 인종적 갈등 지역이었던 사마리아에서 구체적으로 실현되었습니다(엡 2:14). 사마리아 선교는 **'유대와 사마리아'**를 동시에 언급한 사도행전 1장 8절의 명령이 완벽하게 성취된 결정적인 사례입니다.

3부: 복음의 보편화: 땅끝으로의 확장과 만국 백성의 교회 (The Universalization of the Gospel: Expansion to the Ends of the Earth and the Church of All Nations)
3.1. 땅 끝으로의 결정적 전환: 고넬료 사건의 신학적 혁명
**'땅 끝까지'**의 선교는 인종적 경계를 넘어 **모든 이방 민족(Panta ta ethnē)**에게 복음이 전파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전환의 결정적인 분수령은 로마 백부장 고넬료에게 복음이 전파된 사건입니다(행 10장).

3.1.1. 베드로의 편견 극복: 성령의 강권적인 인도
베드로는 고넬료의 집에 들어가는 것을 **'부정한 일'**로 여겼으나, 하나님께서 주신 환상을 통해 **"하나님이 깨끗하게 하신 것을 네가 속되다 하지 말라"**는 결정적인 계시를 받았습니다. 이 초자연적인 개입은 구약의 음식법을 포함한 율법의 경계가 그리스도의 복음 안에서 무효화되었음을 선언하는 신학적 혁명이었습니다.

복음의 보편성 확증: 성령은 베드로의 유대적 편견을 강권적으로 극복하게 하셨으며, 고넬료의 가정에 성령이 임하신 사건을 통해 이방인이 유대인의 율법을 거치지 않고 오직 믿음으로 구원받음이 하나님에 의해 공적으로 확증되었습니다(행 10:44-48). 이는 선교의 대상이 인종이나 문화적 배경이 아닌 오직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에 근거함을 최종적으로 선포한 것입니다.

3.2. 사도 바울의 사역: 땅 끝까지의 실질적 확장
고넬료 사건 이후 안디옥 교회에서 시작된 사도 바울의 이방인 선교는 땅 끝까지의 사명을 실질적으로 구현한 선교적 행위였습니다.

3.2.1. 선교 여행의 지리적 확장과 복음의 문화적 맥락화
바울은 1차, 2차, 3차 선교 여행을 통해 소아시아, 마케도니아, 아가야 등 당시 로마 제국의 핵심 지역에 복음을 전파하며 선교의 지리적 범위를 최대한 확장시켰습니다.

아레오바고 설교(행 17장): 바울은 아덴에서 이방 문화와 철학을 이해하고 그리스도의 복음을 맥락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복음이 모든 문화권에서 통용될 수 있는 보편적인 진리임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습니다.

3.2.2. 땅 끝의 종말론적 완성
바울의 최종 목적지는 당시 로마 제국의 땅 끝으로 여겨지던 **서바나(스페인)**였습니다(롬 15:24). 이는 바울이 사도행전 1장 8절의 **'땅 끝까지'**라는 명령을 지리적·종말론적 개념으로 이해하고 평생의 목표로 삼았음을 보여줍니다.

예루살렘에서 유대와 사마리아, 땅 끝까지의 확장은 성령의 권능을 통해 교회가 자신의 배타적인 한계를 넘어 만국 백성의 어머니로 자리매김하고, 하나님 나라의 복음을 역사 속에서 완성시켜 나가는 구체적인 실재였습니다. 이 과정은 선교가 교회의 선택 사항이 아니라 본질적인 존재 이유임을 증명합니다.

예루살렘에서 유대와 사마리아, 땅끝으로 확장되는 선교의 실제

예루살렘에서 유대와 사마리아, 땅끝으로 확장되는 선교의 실제는 사도행전의 구조적 청사진이자, **성령의 권능(δ
ν
ˊ
ναμις)**을 통해 복음의 보편성이 지리적·인종적·문화적 경계를 점진적으로 돌파해 나가는 **선교의 역사적 과정(Historical Process of Mission)**입니다. 이 확장은 단순한 공간적 이동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께서 주신 **대위임령(마 28:18-20)**과 사도행전 1장 8절의 명령을 성령이 주도적으로 실행하는 **구속사적 경륜(Redemptive-Historical Economy)**의 실체입니다. 이 과정은 교회의 정체성이 배타성이 아닌 포용성에 있음을 세상에 증명하는 선교적 증거였습니다.

1부: 내부 증언의 완성: 예루살렘과 유대로의 확장과 박해의 역설 (The Completion of Internal Witness: Expansion to Jerusalem and Judea and the Paradox of Persecution)
1.1. 예루살렘: 복음의 발원지와 공동체의 공적 탄생
예루살렘은 선교의 지리적 발원지이자, 유대인들을 향한 복음 선포의 가장 중요한 장소였습니다. 성령 강림 직후 교회(
ϵ
ˊ
κκλησ
ι
ˊ
α)가 탄생하고 복음이 가장 먼저 뿌리내린 곳입니다.

1.1.1. 케리그마(Kerygma)의 집중과 공동체의 응집력
예루살렘 초기 교회는 성령의 권능에 힘입어 사도 베드로의 설교와 이적과 표적을 통해 급격한 양적 성장을 이루었습니다(행 2:41). 이 시기의 선교는 지리적으로는 예루살렘 성읍에 집중되었고, 인종적으로는 유대인과 헬라파 유대인을 대상으로 했습니다.

증언의 내용: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이라는 **객관적인 사실(Factum)**을 선포하는 케리그마가 핵심 증언이었습니다.

공동체적 응집: 초대 교회는 성령 안에서의 교제(Koinonia), 말씀에 대한 헌신, 그리고 **사랑의 실천(Diakonia)**을 통해 내부적인 응집력을 강화했으며, 이 신앙 공동체의 아름다운 모습 자체가 가장 강력한 증인된 삶이었습니다(행 2:42-47).

1.1.2. 유대로의 확장: 박해의 역설과 흩어짐의 사명
복음이 예루살렘을 넘어 유대 전 지역으로 확장된 결정적인 계기는 **외부로부터의 박해(Persecution)**였습니다. 스데반의 순교와 이에 뒤따른 사울(바울)의 강력한 핍박은 하나님의 주권적인 섭리(Sovereign Providence) 하에서 선교를 강제적으로 확장시키는 역설적인 수단이 되었습니다(행 8:1).

사도행전 8:1:"...그 날에 예루살렘에 있는 교회에 큰 박해가 있어 사도 외에는 다 유대와 사마리아 모든 땅으로 흩어지니라"
흩어짐의 신학(Theology of Dispersion): 제자들은 박해를 피해 '흩어지면서' 자동적으로 복음을 전파하는 선교의 주체가 되었습니다. 핍박은 교회의 자발적인 의지를 넘어 선교의 지리적 경계를 유대 지역 전체로 넓히는 성령의 주도적인 방법이었으며, 이는 **'흩어지라'**는 숨겨진 명령이 역사적으로 실현된 것이었습니다.

2부: 인종적 장벽의 돌파: 사마리아 선교와 화해의 실현 (The Breakthrough of the Ethnic Barrier: Samaritan Mission and the Realization of Reconciliation)
2.1. 사마리아: 인종적 편견과 복음의 시험대
**사마리아(Σαμ
α
ˊ
ρϵια)**는 복음이 직면해야 할 첫 번째 인종적·문화적 장벽이었습니다. 유대인들은 사마리아인들을 이방인보다 더 경멸하며 혼혈인으로 취급했고, 지리적 통행조차 꺼렸습니다. 사마리아 선교는 예루살렘 유대인 교회가 그리스도의 포용적 복음을 진정으로 수용했는지를 시험하는 결정적인 분수령이었습니다.

2.1.1. 빌립의 사역: 성령의 주도적 사용
흩어진 자들 중 한 명인 **빌립(집사)**은 사마리아 성에 내려가 그리스도를 전파했습니다(행 8:5). 이는 사도의 권위가 아닌 성령의 권능을 받은 일반 신자의 사역으로 인종적 경계를 넘은 최초의 선교적 돌파였습니다.

능력과 증언: 빌립의 치유와 귀신 축출 사역은 사마리아인들에게 복음이 유대인의 종교가 아닌 하나님 나라의 능력임을 가시적으로 확증하는 총체적인 증언이었습니다. 성령의 권능은 인간의 증오심보다 더 강력한 힘으로 화해를 이루어냈습니다.

2.2. 예루살렘의 공식 인정: 공동체적 화해의 완성
사마리아인들이 복음을 받아들였다는 소식에 예루살렘 교회가 베드로와 요한을 파송한 것은 매우 중대한 신학적 의미를 가집니다(행 8:14-17).

2.2.1. 사도의 파송: 연합과 확인
베드로와 요한의 파송은 사마리아 선교가 정통 복음에 의한 것이며, 사마리아인들이 차별 없이 그리스도의 몸에 완전히 편입되었음을 공식적으로 확인하는 교회 연합의 상징적 행위였습니다.

성령의 임재를 통한 통합: 베드로와 요한이 안수했을 때 성령이 사마리아 신자들에게 임함으로써, 유대인과 사마리아인 사이에 영적 차별이 전혀 없음이 하나님에 의해 확증되었습니다. 이로써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로 **둘(유대인과 이방인)**을 하나로 만드신 화해의 사역이 가장 첨예한 인종적 갈등 지역이었던 사마리아에서 구체적으로 실현되었습니다(엡 2:14). 사마리아 선교는 **'유대와 사마리아'**를 동시에 언급한 사도행전 1장 8절의 명령이 완벽하게 성취된 결정적인 사례입니다.

3부: 복음의 보편화: 땅끝으로의 확장과 만국 백성의 교회 (The Universalization of the Gospel: Expansion to the Ends of the Earth and the Church of All Nations)
3.1. 땅 끝으로의 결정적 전환: 고넬료 사건의 신학적 혁명
**'땅 끝까지'**의 선교는 인종적 경계를 넘어 **모든 이방 민족(Panta ta ethnē)**에게 복음이 전파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전환의 결정적인 분수령은 로마 백부장 고넬료에게 복음이 전파된 사건입니다(행 10장).

3.1.1. 베드로의 편견 극복: 성령의 강권적인 인도
베드로는 고넬료의 집에 들어가는 것을 **'부정한 일'**로 여겼으나, 하나님께서 주신 환상을 통해 **"하나님이 깨끗하게 하신 것을 네가 속되다 하지 말라"**는 결정적인 계시를 받았습니다. 이 초자연적인 개입은 구약의 음식법을 포함한 율법의 경계가 그리스도의 복음 안에서 무효화되었음을 선언하는 신학적 혁명이었습니다.

복음의 보편성 확증: 성령은 베드로의 유대적 편견을 강권적으로 극복하게 하셨으며, 고넬료의 가정에 성령이 임하신 사건을 통해 이방인이 유대인의 율법을 거치지 않고 오직 믿음으로 구원받음이 하나님에 의해 공적으로 확증되었습니다(행 10:44-48). 이는 선교의 대상이 인종이나 문화적 배경이 아닌 오직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에 근거함을 최종적으로 선포한 것입니다.

3.2. 사도 바울의 사역: 땅 끝까지의 실질적 확장
고넬료 사건 이후 안디옥 교회에서 시작된 사도 바울의 이방인 선교는 땅 끝까지의 사명을 실질적으로 구현한 선교적 행위였습니다.

3.2.1. 선교 여행의 지리적 확장과 복음의 문화적 맥락화
바울은 1차, 2차, 3차 선교 여행을 통해 소아시아, 마케도니아, 아가야 등 당시 로마 제국의 핵심 지역에 복음을 전파하며 선교의 지리적 범위를 최대한 확장시켰습니다.

아레오바고 설교(행 17장): 바울은 아덴에서 이방 문화와 철학을 이해하고 그리스도의 복음을 맥락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복음이 모든 문화권에서 통용될 수 있는 보편적인 진리임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습니다.

3.2.2. 땅 끝의 종말론적 완성
바울의 최종 목적지는 당시 로마 제국의 땅 끝으로 여겨지던 **서바나(스페인)**였습니다(롬 15:24). 이는 바울이 사도행전 1장 8절의 **'땅 끝까지'**라는 명령을 지리적·종말론적 개념으로 이해하고 평생의 목표로 삼았음을 보여줍니다.

예루살렘에서 유대와 사마리아, 땅 끝까지의 확장은 성령의 권능을 통해 교회가 자신의 배타적인 한계를 넘어 만국 백성의 어머니로 자리매김하고, 하나님 나라의 복음을 역사 속에서 완성시켜 나가는 구체적인 실재였습니다. 이 과정은 선교가 교회의 선택 사항이 아니라 본질적인 존재 이유임을 증명합니다.

mainlogo.png

Дэлхийн Интернэт Номлолын Нийгэмлэг (SWIM) нь 1996 онд байгуулагдсан номлогчийн байгууллага бөгөөд 20 гаруй жилийн турш интернет болон мэдээллийн технологийн тусламжтайгаар дэлхийн номлолд хувь нэмрээ оруулсаар ирсэн.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