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Номлогчийн сургалт?
Одоо номлогчийн бүлэг биш байсан ч хэн ч үүнийг хүлээн авах боломжтой.

12 үндсэн хичээл, 470 хичээлийн үндсэн агуулга

Лекц, лекцтэй холбоотой нэмэлт асуултуудыг ChatGPT-тэй чатлана уу
Одоо хиймэл оюун ухааны эрин үе
AI эрин үеийн шилдэг номлогчийн сургалтыг хэн ч, хаана ч, хэзээ ч авах боломжтой.

Номлогчдыг дэмжигчдийг элсүүлэхэд хүндрэлтэй байгаа номлогчийн байгууллагуудад ашиглах боломжтой.

Одооноос эхлэн дэлхийн номлол
Үүнийг энгийн номлогчид удирддаг.

BAM Mission Training онлайн лекцийн жагсаалт

< Back

비즈니스 선교 기본 제대로 배우기(2)

비즈니스 선교란 이윤을 추구하는 사업체를 매개로 하나님이 그 나라와 국민을 변화시키도록 하는 활동을 말한다.

비즈니스 선교 기본 제대로 배우기(2)

비즈니스 선교란 이윤을 추구하는 사업체를 매개로 하나님이 그 나라와 국민을 변화시키도록 하는 활동을 말한다. 비즈니스 자체가 하나의 선교 수단이 되어 현지인들을 영적으로, 경제적으로 도와주는 것이다. 비즈니스 선교는 영적, 경제적 필요를 모두 염두에 둔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첫째 수익성과 안정성, 둘째 현지인들을 위한 일자리와 부의 창출, 셋째 현지 교회의 부흥과 성장, 이 세 가지 목표를 반드시 충족시켜야 비즈니스 선교라고 할 수 있다. 헷갈리지 말았으면 하는 것이, 비즈니스 자체가 기독교 색채를 띠는 게 아니라, 그 안에서 일하는 사람이 그리스도인일 뿐이라는 점이다. 비즈니스 선교라는 큰 틀 안에는 BaM, BFM, BAM, BWM 등 여러 가지 방향을 제시하는 방법과 이론들이 있다.

BaM:  Business as Mission은 소유주와 경영자가 하나님의 기업의 주인 되심을 인정하여 선교 창의적 접근 지역에서 진행하는 비즈니스를 의미한다. 하나님의 통치를 삶과 기업 운영 자체를 통해 복음 전도를 실현하며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이루어 나가는 데 목적이 있다. BAM을 진행하는 가운데 다른 형태의 비즈니스 선교에 대한 방법들이 등장하였다.

BFM: ᅠBusiness For Mission은 선교를 목적으로 사업체를 이용하는 개념이 강하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BFM을 일반적 사역의 방향으로 제시하고 싶지는 않다. 모든 선교사나 일반 크리스천들이 직업을 복음 전도의 수단이라는 하위 단계로 떨어뜨린다면, 장기적으로 볼 때 복음 전파의 힘이 미약해질 수밖에 없다. 이런 이유로, BFM 의 경우는 일반적인 비즈니스 선교의 방향성이라기보다 별개의 개념이나 특수한 사역의 하나로 이해해야 옳을 것 같다.

BAM: 즉 Business And Mission이 있다. 이는 비즈니스와 미션을 분리해서 생각하는 것이다. 즉, 비즈니스는 비즈니스대로 시장 논리에 맞게 진행하고, 거기에서 생기는 이익금이나 자원만을 미션을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실제 삶이나 기업 운영 방식에서 하나님의 통치를 인정하지 않을 수 있는 이원론의 오류 가운데 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하나님 나라의 확장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것이 개인적인 생각이다.

일반 다국적기업에서 일하면서 선교를 위해 해외 지사 근무를 지원해 복음을 전하는 경우도 비즈니스 선교의 한 모습이다. 실패하여 철수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 상대적으로 자원과 합법성이 뛰어난 대기업을 배경으로 한다는 점에서는 유익한 점이 많다. 그러나, 이 방식의 한계는 소속 회사의 전체 방향성이 하나님 나라를 지향하는 것이 아니므로 선교사의 구조적인 제약을 안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복음의 영향력이 확대되는 경우가 곳곳에서 나타나는 것을 선교 현장에서 보았다.

선교란 선교사와 선교 대상의 접촉을 통해서 일어나는 것이 일반적인데, 창의적 접근 지역에서 피 선교 대상에 대한 접근 자체가 어렵다는 것이 현실이다. 크게 두 가지 정도의 이유에서 기인한다.

첫째, 장기 거주용 비자 획득이 힘들다. 선교사 비자에서 NGO 비자로 전환하여 선교 대상국으로 들어가든 1990년대 관행이 이제는 대부분의 선교 제한 지역에서 거부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남아 있는 창의적 접근 지역의 경우, 집단주의 문화가 강하여 구체적인 만남의 장을 만들기 어렵다. 피 선교 대상을 개인적으로 접촉하기 어려우니 선교 또한 어려운 일이 된다. 이러면 비즈니스는 지역 주민들과 직장 생활을 통해서 만남의 장소와 시간을 제공해주는 귀한 통로가 된다. 여기에서 비즈니스 선교의 필요성이 주목받는 것이다.

읽음 완료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