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基礎宣教訓練オンライン講義リスト

바울 신학과 이방인 선교

**십자가(The Cross), 부활(The Resurrection), 그리고 이신칭의(Justification by Faith)**는 기독교 구원론의 세 가지 **불가분의 핵심 기둥(Inseparable Core Pillars)**입니다. 이 교리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적 사역(Atoning Work)**이 어떻게 죄인을 하나님과 화목하게 하는지 보여주는 **구속사적 메커니즘(Redemptive-Historical Mechanism)**을 구성합니다. 십자가는 **구원의 근거(Basis)**를 마련했고, 부활은 **구원의 능력과 확증(Power and Validation)**을 제공했으며, 이신칭의는 이 모든 것을 **믿음으로 받는 방법(Method of Reception)**을 제시합니다.

1부: 십자가(The Cross): 대속적 속죄와 의의 성취 (Atoning Propitiation and the Achievement of Righteousness)
1.1. 십자가의 신학적 필연성: 하나님의 공의 충족
십자가는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의 **정점(Climax)**이자 구속사의 심장입니다. 십자가가 필연적이었던 신학적 이유는 인간의 죄의 보편성과 **하나님의 거룩한 공의(God's Holy Justice)**에 있습니다. 죄는 하나님의 거룩한 율법을 범한 것이기에, 율법의 요구인 **죽음(롬 6:23)**이라는 형벌을 요구했습니다.

1.1.1. 대속적 속죄(Vicarious Propitiation)의 완성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대속적 속죄(대신 속죄함)**를 통해 이 하나님의 공의를 충족시켰습니다.

대속(Vicariousness): 죄 없으신 그리스도께서 인류의 죄를 대신 짊어지시고 십자가에서 죽으셨습니다. 이는 **인간의 죄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God's Wrath)**를 그리스도 홀로 받으심으로써 죄인을 향한 진노를 돌이키게 하는 결정적인 행위였습니다.

저주의 담당: 사도 바울은 갈라디아서 3장 13절에서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저주를 받은 바 되사 율법의 저주에서 우리를 속량하셨다"**고 선언합니다. 십자가는 율법의 요구와 죄의 형벌을 궁극적으로 해소하고 죄인을 해방시키는 구속의 행위였습니다.

1.2. 십자가를 통한 객관적 의의 성취
십자가는 단순히 죄의 형벌을 담당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죄인이 하나님 앞에 설 수 있는 근거인 **의(Righteousness)**를 **객관적으로 성취(Objectively Achieved)**했습니다. 그리스도는 인간의 불순종을 십자가에서 대속하시고, **자신의 완전한 순종(Active Obedience)**을 통해 율법의 모든 요구를 완벽하게 이행하셨습니다. 이 그리스도의 순종이 **칭의의 근본적인 자원(Fundamental Resource for Justification)**이 됩니다. 십자가는 **죄인의 죄책(Guilt)**을 제거하고, 동시에 **하나님과의 화해(Reconciliation)**를 가능하게 하는 **유일한 신학적 토대(Sole Theological Foundation)**입니다.

2부: 부활(The Resurrection): 대속의 확증과 칭의의 능력 (The Validation of Atonement and the Power of Justification)
2.1. 부활의 신학적 기능: 십자가 사역의 확증
부활은 십자가 사역이 완벽하게 성공했고,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의 희생을 기뻐 받으셨음을 공적으로 확증하는 결정적인 사건입니다. 부활이 없다면 십자가의 죽음은 또 다른 순교자의 비극에 불과하며, 대속의 효력은 무효가 됩니다(고전 15:17).

2.1.1. 죄와 사망의 권세에 대한 승리 선언
부활은 그리스도께서 죄와 사망, 그리고 사탄의 권세를 최종적으로 정복하셨음을 가장 강력하게 선언합니다(롬 1:4). 부활은 그리스도가 하나님의 아들이시며 메시아 왕국의 왕이심을 입증하는 **신적 증거(Divine Evidence)**입니다. 이 승리는 십자가에서 얻어진 죄 사함이 영원한 효력을 가짐을 보증합니다.

2.2. 부활과 이신칭의의 불가분한 관계
부활은 **칭의(Justification)**를 위한 객관적 근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칭의를 실현하는 능력을 부여합니다. 로마서 4장 25절은 부활과 칭의의 직접적인 관계를 명확히 제시합니다.

로마서 4:25:"예수는 우리가 범죄한 것 때문에 내줌이 되고 또한 우리를 의롭다 하시기 위하여 살아나셨느니라"
십자가와 부활의 역할 분담: 십자가는 **우리의 죄(δι 
α
˙
  τ 
α
ˊ
  παραπτ 
ω
ˊ
 ματα, 우리의 범죄 때문에)**를 처리하여 의롭다 함의 장애물을 제거했다면, 부활은 **의롭다 함(δι 
α
ˊ
  τ 
η
ˊ
​
 ν δικα 
ι
ˊ
 ωσιν, 우리를 의롭다 하시기 위하여)**을 실제적으로 수립하고 효력을 발생시키는 능동적인 원인이 됩니다. 부활은 그리스도의 의가 하나님에 의해 인준되었고, 그 의가 죄인에게 전가될 수 있는 역동적인 생명력이 되었음을 의미합니다.

2.3. 종말론적 소망의 보장
부활은 단순한 과거의 사건이 아니라, 그리스도 안의 모든 신자에게 **새 생명(New Life)**을 부여하고 **장차 있을 부활(Future Resurrection)**을 보장하는 **종말론적 소망(Eschatological Hope)**의 근거입니다. 칭의를 받은 자는 부활하신 그리스도와 연합하여 영적인 새 삶을 살게 되며, 이는 **성화(Sanctification)**와 **영화(Glorification)**로 이어지는 구원 전체의 과정에 능력을 공급합니다.

3부: 이신칭의(Justification by Faith): 구원의 적용과 대교환 (The Application of Salvation and the Great Exchange)
3.1. 이신칭의의 정의와 특징: 법정적 선언
**이신칭의(Justification by Faith, 오직 믿음으로 의롭다 함)**는 십자가와 부활로 성취된 구원의 공로를 개인에게 적용하는 하나님의 행위이자 신학적 방법론입니다.

3.1.1. 법정적 선언(Forensic Declaration)
칭의는 **죄인을 실제로 의롭게 만드는 과정(성화)**이 아니라, 죄인의 신분을 법적으로(Forensically) '의롭다'고 선언하는 하나님의 행위입니다. 하나님은 죄인의 실제 상태가 아닌, **그리스도의 완벽한 의(Perfect Righteousness)**를 근거로 죄인을 의인으로 간주하십니다.

Sola Fide (오직 믿음으로): 이 선언을 받는 유일한 조건은 **인간의 행위(Works)**가 아닌,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 사역을 전적으로 신뢰하는 **믿음(Faith)**뿐입니다. 이 **'오직 믿음으로'**라는 원리는 바울 신학의 핵심이며, 유대인과 이방인이 동등하게 차별 없이 구원받을 수 있는 **보편적 구원론(Universal Soteriology)**의 결정적인 기초가 됩니다.

3.2. 칭의의 메커니즘: 대교환(The Great Exchange)의 전가
이신칭의는 **'전가(Imputation)'**라는 신학적 메커니즘을 통해 이해되며, 이는 **'대교환(The Great Exchange)'**으로 불리는 놀라운 은혜입니다(고후 5:21).

3.2.1. 죄의 전가와 의의 전가
죄의 전가 (Imputation of Sin): 죄인이 가진 모든 죄와 형벌이 십자가 위의 그리스도에게 전가됩니다. 그리스도는 죄인의 신분으로 취급되어 율법의 저주를 받으셨습니다.

의의 전가 (Imputation of Righteousness): 그리스도가 삶 전체를 통해 이루신 완벽한 의가 믿는 죄인에게 전가됩니다. 죄인은 자신의 공로가 아닌 그리스도의 의를 옷 입고 하나님 앞에 완벽한 의인으로 설 수 있게 됩니다.

이 대교환을 통해 십자가의 대속적 효력과 부활의 승리가 믿음을 통해 죄인의 구원에 실질적으로 적용됩니다. 십자가, 부활, 그리고 이신칭의는 **하나님의 공의(Justice)**와 **긍휼(Mercy)**이 완벽하게 만나는 구원 계획의 완전한 삼각 축을 이룹니다.

십자가, 부활, 이신칭의

**십자가(The Cross), 부활(The Resurrection), 그리고 이신칭의(Justification by Faith)**는 기독교 구원론의 세 가지 **불가분의 핵심 기둥(Inseparable Core Pillars)**입니다. 이 교리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적 사역(Atoning Work)**이 어떻게 죄인을 하나님과 화목하게 하는지 보여주는 **구속사적 메커니즘(Redemptive-Historical Mechanism)**을 구성합니다. 십자가는 **구원의 근거(Basis)**를 마련했고, 부활은 **구원의 능력과 확증(Power and Validation)**을 제공했으며, 이신칭의는 이 모든 것을 **믿음으로 받는 방법(Method of Reception)**을 제시합니다.

1부: 십자가(The Cross): 대속적 속죄와 의의 성취 (Atoning Propitiation and the Achievement of Righteousness)
1.1. 십자가의 신학적 필연성: 하나님의 공의 충족
십자가는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의 **정점(Climax)**이자 구속사의 심장입니다. 십자가가 필연적이었던 신학적 이유는 인간의 죄의 보편성과 **하나님의 거룩한 공의(God's Holy Justice)**에 있습니다. 죄는 하나님의 거룩한 율법을 범한 것이기에, 율법의 요구인 **죽음(롬 6:23)**이라는 형벌을 요구했습니다.

1.1.1. 대속적 속죄(Vicarious Propitiation)의 완성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대속적 속죄(대신 속죄함)**를 통해 이 하나님의 공의를 충족시켰습니다.

대속(Vicariousness): 죄 없으신 그리스도께서 인류의 죄를 대신 짊어지시고 십자가에서 죽으셨습니다. 이는 **인간의 죄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God's Wrath)**를 그리스도 홀로 받으심으로써 죄인을 향한 진노를 돌이키게 하는 결정적인 행위였습니다.

저주의 담당: 사도 바울은 갈라디아서 3장 13절에서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저주를 받은 바 되사 율법의 저주에서 우리를 속량하셨다"**고 선언합니다. 십자가는 율법의 요구와 죄의 형벌을 궁극적으로 해소하고 죄인을 해방시키는 구속의 행위였습니다.

1.2. 십자가를 통한 객관적 의의 성취
십자가는 단순히 죄의 형벌을 담당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죄인이 하나님 앞에 설 수 있는 근거인 **의(Righteousness)**를 **객관적으로 성취(Objectively Achieved)**했습니다. 그리스도는 인간의 불순종을 십자가에서 대속하시고, **자신의 완전한 순종(Active Obedience)**을 통해 율법의 모든 요구를 완벽하게 이행하셨습니다. 이 그리스도의 순종이 **칭의의 근본적인 자원(Fundamental Resource for Justification)**이 됩니다. 십자가는 **죄인의 죄책(Guilt)**을 제거하고, 동시에 **하나님과의 화해(Reconciliation)**를 가능하게 하는 **유일한 신학적 토대(Sole Theological Foundation)**입니다.

2부: 부활(The Resurrection): 대속의 확증과 칭의의 능력 (The Validation of Atonement and the Power of Justification)
2.1. 부활의 신학적 기능: 십자가 사역의 확증
부활은 십자가 사역이 완벽하게 성공했고,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의 희생을 기뻐 받으셨음을 공적으로 확증하는 결정적인 사건입니다. 부활이 없다면 십자가의 죽음은 또 다른 순교자의 비극에 불과하며, 대속의 효력은 무효가 됩니다(고전 15:17).

2.1.1. 죄와 사망의 권세에 대한 승리 선언
부활은 그리스도께서 죄와 사망, 그리고 사탄의 권세를 최종적으로 정복하셨음을 가장 강력하게 선언합니다(롬 1:4). 부활은 그리스도가 하나님의 아들이시며 메시아 왕국의 왕이심을 입증하는 **신적 증거(Divine Evidence)**입니다. 이 승리는 십자가에서 얻어진 죄 사함이 영원한 효력을 가짐을 보증합니다.

2.2. 부활과 이신칭의의 불가분한 관계
부활은 **칭의(Justification)**를 위한 객관적 근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칭의를 실현하는 능력을 부여합니다. 로마서 4장 25절은 부활과 칭의의 직접적인 관계를 명확히 제시합니다.

로마서 4:25:"예수는 우리가 범죄한 것 때문에 내줌이 되고 또한 우리를 의롭다 하시기 위하여 살아나셨느니라"
십자가와 부활의 역할 분담: 십자가는 **우리의 죄(δι
α
˙
 τ
α
ˊ
 παραπτ
ω
ˊ
ματα, 우리의 범죄 때문에)**를 처리하여 의롭다 함의 장애물을 제거했다면, 부활은 **의롭다 함(δι
α
ˊ
 τ
η
ˊ

ν δικα
ι
ˊ
ωσιν, 우리를 의롭다 하시기 위하여)**을 실제적으로 수립하고 효력을 발생시키는 능동적인 원인이 됩니다. 부활은 그리스도의 의가 하나님에 의해 인준되었고, 그 의가 죄인에게 전가될 수 있는 역동적인 생명력이 되었음을 의미합니다.

2.3. 종말론적 소망의 보장
부활은 단순한 과거의 사건이 아니라, 그리스도 안의 모든 신자에게 **새 생명(New Life)**을 부여하고 **장차 있을 부활(Future Resurrection)**을 보장하는 **종말론적 소망(Eschatological Hope)**의 근거입니다. 칭의를 받은 자는 부활하신 그리스도와 연합하여 영적인 새 삶을 살게 되며, 이는 **성화(Sanctification)**와 **영화(Glorification)**로 이어지는 구원 전체의 과정에 능력을 공급합니다.

3부: 이신칭의(Justification by Faith): 구원의 적용과 대교환 (The Application of Salvation and the Great Exchange)
3.1. 이신칭의의 정의와 특징: 법정적 선언
**이신칭의(Justification by Faith, 오직 믿음으로 의롭다 함)**는 십자가와 부활로 성취된 구원의 공로를 개인에게 적용하는 하나님의 행위이자 신학적 방법론입니다.

3.1.1. 법정적 선언(Forensic Declaration)
칭의는 **죄인을 실제로 의롭게 만드는 과정(성화)**이 아니라, 죄인의 신분을 법적으로(Forensically) '의롭다'고 선언하는 하나님의 행위입니다. 하나님은 죄인의 실제 상태가 아닌, **그리스도의 완벽한 의(Perfect Righteousness)**를 근거로 죄인을 의인으로 간주하십니다.

Sola Fide (오직 믿음으로): 이 선언을 받는 유일한 조건은 **인간의 행위(Works)**가 아닌,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 사역을 전적으로 신뢰하는 **믿음(Faith)**뿐입니다. 이 **'오직 믿음으로'**라는 원리는 바울 신학의 핵심이며, 유대인과 이방인이 동등하게 차별 없이 구원받을 수 있는 **보편적 구원론(Universal Soteriology)**의 결정적인 기초가 됩니다.

3.2. 칭의의 메커니즘: 대교환(The Great Exchange)의 전가
이신칭의는 **'전가(Imputation)'**라는 신학적 메커니즘을 통해 이해되며, 이는 **'대교환(The Great Exchange)'**으로 불리는 놀라운 은혜입니다(고후 5:21).

3.2.1. 죄의 전가와 의의 전가
죄의 전가 (Imputation of Sin): 죄인이 가진 모든 죄와 형벌이 십자가 위의 그리스도에게 전가됩니다. 그리스도는 죄인의 신분으로 취급되어 율법의 저주를 받으셨습니다.

의의 전가 (Imputation of Righteousness): 그리스도가 삶 전체를 통해 이루신 완벽한 의가 믿는 죄인에게 전가됩니다. 죄인은 자신의 공로가 아닌 그리스도의 의를 옷 입고 하나님 앞에 완벽한 의인으로 설 수 있게 됩니다.

이 대교환을 통해 십자가의 대속적 효력과 부활의 승리가 믿음을 통해 죄인의 구원에 실질적으로 적용됩니다. 십자가, 부활, 그리고 이신칭의는 **하나님의 공의(Justice)**와 **긍휼(Mercy)**이 완벽하게 만나는 구원 계획의 완전한 삼각 축을 이룹니다.

mainlogo.png

SWIM世界インターネット宣教協議会は1996年に創立した宣教団体で、インターネットとITを活用して20年以上にわたり世界宣教に貢献してきました。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