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基礎宣教訓練オンライン講義リスト

공동체 내에서 분쟁을 중재하는 기술.

공동체 내에서 분쟁을 중재하는 기술

공동체 내의 분쟁은 피할 수 없는 일입니다. 하지만 분쟁을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따라 공동체는 더욱 단단해질 수도 있고, 무너질 수도 있습니다. 중재자는 재판관이 아닌, 갈등을 해소하고 서로를 이해하도록 돕는 촉진자입니다. 다음은 공동체 분쟁을 현명하게 중재하는 구체적인 기술입니다.


1. 중재자로서의 '중립성'을 확보하세요

중재의 첫 번째 단계는 어느 한쪽 편도 들지 않는 완전한 중립성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한쪽의 입장만 듣거나, 이미 결론을 내린 상태에서 중재를 시도하면 신뢰를 잃고 오히려 갈등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중재자는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사람이 아니라, '이야기'를 듣고 '해결책'을 찾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해야 합니다.


2. '각자의 이야기'를 따로 경청하세요

분쟁 당사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이야기하면 감정적으로 격해지기 쉽습니다. 먼저 각 당사자를 따로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충분히 들어주세요. 이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무슨 일이 있었는지'보다 '왜 그렇게 느꼈는지'**에 집중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그 사람이 나를 무시했어요"라고 말한다면, "그 말이나 행동 때문에 무시당했다고 느끼셨군요"라고 감정을 확인해 주세요.


3. '공통의 목표'를 찾아 연결고리를 만드세요

분쟁의 표면에는 다양한 감정들이 드러나지만, 대부분의 갈등에는 공통된 욕구(예: 존중받고 싶다는 욕구, 공동체의 평화를 지키고 싶다는 욕구)가 숨어 있습니다. 각 당사자와 이야기하며 그들의 공통된 목표를 찾아내세요. 그리고 "두 분 모두 이 공동체가 평화롭기를 원하시는군요"와 같이 공통의 목표를 명확히 제시하여 그들이 서로에게 연결되어 있음을 인지시켜야 합니다.


4. '명확한 규칙'을 가지고 대화를 촉진하세요

양 당사자가 함께하는 대화 자리를 마련했다면, 몇 가지 규칙을 정해야 합니다.

  • 상대방의 말을 끊지 않기.

  • '너 때문에'가 아닌 '나는 ~라고 느꼈다'와 같이 '나(I)'를 주어로 이야기하기.

  • 목소리를 높이지 않기.중재자는 대화가 격해질 때마다 이 규칙들을 상기시키고, 한쪽이 이야기할 때 다른 한쪽은 듣기만 하는 분위기를 만들어야 합니다.

5. '과거'가 아닌 '미래의 해결책'에 집중하세요

대화가 과거의 잘잘못을 따지는 데 머물지 않도록 유도해야 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가 앞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라고 질문하며 대화의 초점을 **'해결책'**으로 옮겨야 합니다. 양 당사자가 각자 실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행동 계획을 세우고, 중재자는 그 약속이 잘 지켜지는지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합니다.

성공적인 중재는 분쟁을 종식시키는 것을 넘어, 공동체가 갈등을 극복하고 더욱 성숙해지는 계기를 마련해 줍니다.

강의 읽음 등록
mainlogo.png

SWIM世界インターネット宣教協議会は1996年に創立した宣教団体で、インターネットとITを活用して20年以上にわたり世界宣教に貢献してきました。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