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宣教訓練?
今は宣教団体でなくても誰でも受けることができる。
12個の大テーマと470個の科目の核心内容
講義と講義に関する追加の質問、チャットChatGPTで
今はAI時代
AI時代に合った最適な宣教訓練をいつでもどこでも誰でも
宣教支援者の募集に苦労する宣教団体の利用可能
これから世界宣教は
平信徒宣教師が主導する。
BAM ミッショントレーニングオンラインレッスンリスト
11. 이중직 목회자의 특징
세상 속에서 영향력 있는 그리스도인으로서 일에 대해 부르심을 확인하고 하나님의 목적에 부합하는 일을 함으로써 이윤보다 하나님 나라 확장에 힘쓴다.

11. 이중직 목회자의 특징
세상 속에서 영향력 있는 그리스도인으로서 일에 대해 부르심을 확인하고 하나님의 목적에 부합하는 일을 함으로써 이윤보다 하나님 나라 확장에 힘쓴다. 더불어 사람을 행복하게 하며 사람을 섬기는 목회자로서의 영향을 주는 것이 이중직 목회자의 특징이다. 그렇다면 목회자는 꼭 교회 안에서만 일해야만 하는 것인가? 목회자도 세상 속에서 세상의 사람들과 어울리며 그들에게 선한 영향을 주어 전도의 기회를 만들 수는 없는 것일까? 전도는 목회자가 하는 것이 아니라 성도들이 하는 것으로 법례와 되어 있는 현실 속에서 쉽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대형 교회는 몰라도 중소형 미자립 교회나 개척 교회는 목사가 전도 하지 않으면 현실적으로 교회 숫자를 늘릴 형편은 못 된다.
목회의 관점에서 보면 목회자는 하나님 나라 건설과 이웃을 향한 영혼 구원, 나를 향한 충만의 삶을 통해 성도들에게 풍성한 삶을 제공하는 것이다. 목회자 자기 관리를 통해 영적? 육체적? 싸움터에서 승리하여 성도들에게 모범을 보이는 것이다. 성도들에게 은혜를 경험하게 하고 하나님과 성도들 사이의 교량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중직 목회를 통해서 바울이 그랬듯이 재정에서 자유로움을 느낄 수 있으며, 노동의 신성함을 만끽하고, 성도들에게 자신만만함을 보여주고, 가족에게 인정받음(자녀들에게)으로써 이중직 목회자의 책임을 다할 수 있다.
이중직 목사의 가장 중요한 것
첫째로 초심을 잃지 않을 자신감
둘째로 목회자 본분 망각하지 않을 자신감
셋째로 교회와 성도들에게 모범을 보이고
넷째로 가정에 충실하여 성도과 가족으로부터 인정받고 자신 있는 목회를 할 수 있다.
목회자의 4가지 성품은 사람, 정직, 열정 그리고 나눔의 성품을 가지고 있다. 첫째 사람의 성품 중에서 목회자는 기도하는 사람, 목회자는 자신을 헌신한 사람, 목회자는 성경을 따라 사는 사람, 목회자는 자신을 통제할 줄 아는 사람, 목회자는 겸손한 사람, 목회자는 가정에 충실한 사람이다.
두 번째 성품 중에는 자신에게 정직하고 성도들에게 정직하며, 가족에게 정직하고 이웃에게 정직한 목회자들이다.
세 번째 성품 중에는 남다른 열정으로 달려온 사람, 자신을 희생하며 달려온 사람, 물불 가리지 않고 희생한 사람, 남은 건 열정뿐인 사람이다.
네 번째 성품에는 자신의 모든 것을 하나님과 성도에게 돌리며, 가족에게 돌리는 성품의 목회자이다. 이러한 성품을 가진 사람들이 이중직 목회를 하는 것 있어 부정적인 모습을 생각하는 교단이나 목사에게 이중직 목사의 진정성을 보여주고 싶은 마음이다.
나는 이중직 목회를 통해 하나님이 한국 교회를 향하는 마음이 있다고 본다. 지금의 한국 교회는 막장 터널 같은 상황이 아닐까 싶다. 이중직 목회를 통해서 한국 교회가 다음과 같은 것을 생각해보면 좋겠다. 이중직 목회가 성도들에게 그리고 불신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다음과 같은 영향을 준다.
첫째 이중직 목회는 새로운 영역에 대한 도전이다.
둘째 이중직 목회는 선교이다.
셋째 이중직 목회는 모든 교회를 건강하게 한다.
넷째 이중직 목회는 사회를 건강하게 한다.
다섯째 이중직 목회는 사회를 통합하게 한다.
여섯째 이중직최종 목적은 하나님의 복음의 영토 확장이다.
현재 한국뿐만 아니라 여러 나라에서 목회자들이 이중직의 현장에서 일하고 있다. 이것은 사회적인 현상이고 목회자들이 이중직에 관심을 가진 것은 상당히 고무적이고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제5의 물결이라고 말하고 싶다. 성경에는 세상으로 하여금 교회로 가라고 않고 교회를 향하여 세상으로 가라는 암묵적 내용을 찾아볼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목회자가 세상을 향하여 부르심을 받았다는 생각하면 이 문제는 간단하게 해결이 된다. 우리는 목회에 대한 부르심도 받았지만, 세상을 책임지고 세상을 위해 일하라는 부르심도 받았다는 사실을 부정해서는 안 된다. 이제는 내가 경험한 택시 운전사 이야기를 나누려고 한다.